![]() |
This image released by Universal Pictures shows Cillian Murphy in a scene from "Oppenheimer." AP-Yonhap 유니버설픽처에서 공개한 사진에 영화 ‘오펜하이머'의 한 장면에 등장한 배우 킬리언 머피가 보인다. AP-연합 |
Christopher Nolan's "Oppenheimer" is a kinetic thing of dark, imposing beauty that quakes with the disquieting tremors of a forever rupture in the course of human history.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는 인류 역사 과정에서 돌이킬 수 없는 파열이 가져온 불안한 떨림에 시달리는 어둡고 인상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한 영화다.
"Oppenheimer," a feverish threehour immersion in the life of Manhattan Project mastermind J. Robert Oppenheimer (Cillian Murphy), is poised between the shock and aftershock of the terrible revelation, as one character calls it, of a divine power.
러닝타임 3시간 동안 맨해튼 프로젝트 총책임자 로버트 오펜하이머(킬리언 머피 역)의 생애로 관객을 초조하게 몰입시키는 영화 ‘오펜하이머'는 한 등장인물이 말하듯 "신의 권능"이 가져다 주는 끔찍한 진실의 충격과 여파 중간 어딘가에 자리한다.
There are times in Nolan's latest opus that flames fill the frame and visions of subatomic particles flitter across the screen — montages of Oppenheimer's own churning visions. But for all the immensity of "Oppenheimer," this is Nolan's most human-scaled film — and one of his greatest achievements.
놀란 감독의 최신작인 이 영화의 일부 장면에는 화염이 프레임을 채우고 원자 구성 입자들의 환영이 화면을 가로질러 날아다니는데 이는 오펜하이머의 뒤틀린 시각의 몽타주다. 하지만 영화의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오펜하이머'는 놀란 감독의 가장 인간적인 영화이자 가장 위대한 성취 중 하나다.
It's told principally in close-ups, which, even in the towering detail of IMAX 70mm, can't resolve the vast paradoxes of Oppenheimer.
아이맥스 70mm 필름으로 촬영돼 압도적인 해상도를 자랑하는 클로즈업에서도 오펜하이머의 방대한 역설을 해결할 수 없었다고 전해진다.
He was said to be a magnetic man with piercing blue eyes (Murphy has those in spades) who became the father of the atomic bomb but, in speaking against nuclear proliferation and the hydrogen bomb, emerged as America's postwar conscience.
오펜하이머는 (배우 머피가 확실히 가진) 꿰뚫어 보는 듯한 파란 눈의 매력적인 인물로 알려졌으며 원자 폭탄의 아버지가 되었지만 핵 확산과 수소폭탄에 반대 발언을 하며 전후 미국의 양심을 나타내는 인물로 부상했다.
Nolan, writing his own adaptation of Martin J. Sherwin and Kai Bird's Pulitzer Prize-winning 2005 book "American Prometheus: The Triumph and Tragedy of J. Robert Oppenheimer," layers the build-up to the Manhattan Project with two moments from years later.
퓰리처상 수상작인 마틴 셔윈과 카이 버드의 2005년 저서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오펜하이머의 승리와 비극'을 각색해 영화화한 놀란은 수년 후 두 장면에서부터 맨해튼 프로젝트까지의 준비를 점층적으로 쌓는다.
In 1954, a probing inquiry into Oppenheimer's leftist politics by a McCarthy-era Atomic Energy Commission stripped him of his security clearance. This provides the frame of "Oppenheimer," along with a Senate confirmation hearing for Lewis Strauss (Robert Downey Jr.), who chaired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and was a stealthy nemesis to Oppenheimer. (AP)
1954년 매카시 시절 원자력에너지위원회는 그의 간첩설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를 실시해 오펜하이머의 ‘보안 허가' 권한을 박탈한다. 이는 원자력에너지위원회 의장이자 오펜하이머의 숨겨진 천적이었던 루이스 스트라우스(로버트 다우니 역)의 미 의원 안보 청문회와 더불어 ‘오펜하이머'의 틀을 형성한다. (AP)
KEY WORDS
■ kinetic 운동의, 운동에 의해 생기는
■ rupture 파열
■ immersion 몰입
■ divine 신성한
■ immensity 엄청남, 방대함
■ towering 대단히 뛰어난
■ paradox 역설
■ magnetic 사람을 강하게 끄는, 대단히 매력적인
■ conscience 양심
■ adaptation 각색
■ probing 면밀히 살피는
■ strip A of B: A에게서 B를 빼앗다
■ stealthy 살며시[몰래] 하는
■ nemesis 응보, 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