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has widened precipitousl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부유층과 빈곤층 간 격차가 급격히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While the poor are being pushed closer to the edge, the value of assets owned by the rich has soared during the same period.
이 시기에 빈곤층은 벼랑 끝으로 몰린 반면 부유층이 소유한 자산 가치는 급증했다.
In the U.S., the collective wealth held by the country's billionaires has grown by over 70 percent from March last year to October this year, according to Americans for Tax Fairness and the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Program on Inequality (IPS).
소비자단체인 ‘공정한 세금을 위한 미국인 연합'과 미국 정책연구원(IPS)은 지난 3월부터 10월까지 미국 내 억만장자들의 총 재산이 70퍼센트 늘었다고 밝혔다.
During the past 19 months, their fortunes have expanded to over $5 trillion, from slightly less than $3 trillion at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지난 19개월 동안 이들의 총 자산은 코로나19 팬데믹 초반의 3조 미만에서 5조 달러로 늘어났다.
Increasing poverty rate
빈곤율 증가
While asset values continue to rise, the country's relative poverty rate ― the percentage of people living with less than 50 percent of the median disposable income ― has also increased.
국내 자산 가치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한편 전체인구 중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인구의 비율을 의미하는 상대적 빈곤율도 함께 증가했다.
According to the latest data from the OECD, one out of every six people ― or 16.7 percent ― in Korea were found to be living in relative poverty.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6명 중 1명 인16.7%가 상대적 빈곤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This is the fourth-highest number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fter Costa Rica which has the highest relative poverty rate of 20.5 percent, the U.S. at 17.8 percent and Israel at 16.9 percent.
이는 OECD 37개국 4번째로, 20.5%의 코스타리카, 17.8%의 미국, 16.9%의 이스라엘 다음 순위이다.
Poverty among senior citizens is also a major factor behind Korea's high rate.
국내 노인빈곤율도 상대적 빈곤율의 주요 요인이다.
A whopping 43.4 percent of Koreans aged over 65 are living in poverty,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빈곤율은 무려 43.4%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KEY WORDS
■ precipitously 급격히
■ soar 급증하다
■ fortune 재산
■ relative poverty 상대적 빈곤
■ factor 요인
■ whopping 엄청 큰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