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 in K-content has become indicative of 'premium': culture experts
문화 전문가들, "K콘텐츠의 ‘K', ‘고급'의 지표돼"
By Kwak Yeon-soo
There is no doubt that Korean cultural content has taken the world by storm.
한국의 문화 콘텐츠가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 잡았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Netflix's smash hit drama, "Squid Game," won major Emmys, including Lee Jung-jae's Outstanding Lead Actor award; director Park Chan-wook and actor Song Kang-ho brought home Cannes awards for films "Decision to Leave" and "Broker," respectively; a K-pop category has been newly added to the American Music Awards; and BTS member Jungkook participated in the official soundtrack of the FIFA World Cup in Qatar and performed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global sporting event.
넷플릭스 대흥행작 '오징어게임'이 이정재의 남우주연상을 포함해 주요 에미상을 수상했다. 박찬욱 감독과 배우 송강호는 각각 영화 '헤어질결심'과 '브로커'로 칸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는 K팝 부문이 새롭게 추가됐다. 방탄소년단 멤버 정국은 카타르 FIFA 월드컵 공식 OST에 참여해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 개막식 무대에 올랐다.
With the global reach of online platforms like Netflix and YouTube, Korean dramas, films and pop music continued their dominance in 2022, and are likely to maintain their popularity in the coming years.
넷플릭스, 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의 세계 진출로 한국 드라마와 영화, 대중음악은 2022년에도 대세였으며 앞으로도 인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According to data provided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exports of "K-content," including Korean pop music, dramas, movies, entertainment TV shows and games, set a new record in 2021. They jumped 13.9 percent to $13.5 billion from the previous year. Korea ranked 12th in the world in terms of soft power in 2022, according to Brand Finance's Global Soft Power Index.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대중가요, 드라마, 영화, 예능, TV쇼, 게임 등 'K콘텐츠' 수출액은 2021년 신기록을 세웠다. 전년 대비 13.9% 증가한 135억 달러를 기록했다. 컨설팅 업체인 브랜드 파이낸스가 발표한 글로벌 소프트 파워 지수에서 2022년 한국은 세계 12위를 차지했다.
The origin of K-content's popularity dates back to roughly 20 years ago when "hallyu," or the Korean wave, gained traction in Asia following the popularity of drama series such as "A Wish Upon a Star" (1997) "Winter Sonata" (2002) and "Jewel in the Palace" (2003).
K콘텐츠 인기의 시작은 20여년 전 '별은 내 가슴에'(1997) '겨울연가'(2002), ‘대장금'(2003) 등 K드라마의 인기에 힘 업어 아시아에서 '한류' 열풍이 일었던 때다.
Content expert Noh Ga-young, who previously worked at entertainment giant CJ Entertainment, attributes the success of K-content to its universal appeal and nationalistic fervor.
엔터테인먼트 거대 기업인 CJ 엔터테인먼트에서 근무한 노가영 콘텐츠 전문가는 K콘텐츠의 성공 요인으로 보편적 매력과 애국주의적 열정을 꼽았다.
"A majority of filmmakers and producers that are making waves right now were heavily influenced by Western films and TV series, so they follow the Hollywood formula but with a little bit of originality. That's why K-content holds universal appeal. Also, Korea is one of very few countries where local audiences support their homegrown films," she said.
노 전문가는 "현재 대세를 이루는 대부분의 영화 제작자와 프로듀서는 서부 영화 및 TV 시리즈에서 크게 영향을 받아 할리우드 공식을 따르면서도 약간의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 바로 K콘텐츠가 보편적인 매력을 지닌 이유다. 또한 한국은 국민이 자국 영화를 지지하는 극소수 국가 중 하나"라고 말했다.
"From the industry perspective, tech companies in Silicon Valley have helped K-content gain international traction. Unlike hallyu dramas that were exported to individual countries in the past, K-dramas are now available globally thanks to streaming services."
"산업적 관점에서 볼 때 실리콘 밸리의 테크 기업들은 K콘텐츠가 국제적인 관심을 끌도록 도왔다. 과거 한류 드라마는 각국에 개별적으로 수출되었으나 이제 K드라마는 스트리밍 플랫폼들 덕분에 전 세계 어디서든 시청가능하다."
The year 2022 has seen some incredible K-dramas that stunned global audiences.
2022년에는 전 세계 시청자를 놀라게 한 K드라마가 있었다.
From the zombie horror series, "All of Us Are Dead," to the courtroom series, "Juvenile Justice," and "Extraordinary Attorney Woo," the themes and subjects have also become more diverse.
좀비 호러 시리즈인 '지금 우리 학교는'부터 법정 시리즈인 '소년심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까지 대상과 주제도 다양해졌다.
KEY WORDS
■ indicative ~을 나타내는[보여주는]
■ premium 아주 높은, 고급의
■ take ~ by storm ~의 마음을 단번에 사로잡다
■ smash hit (책·흥행·배우 등의) 대성공, 큰 히트
■ date back to ~까지 거슬러 올라가다
■ traction (사람을) 끄는힘, 매력
■ attribute to ~의 덕분으로 돌리다
■ nationalistic 국수주의적인
■ fervor 열정
■ formula (특정한 일을 이루기 위한) 공식
■ homegrown (제작을) 국내에서 한
■ stun 큰 감동을 주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