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컨퍼런스 빌딩에서 한일 정상 약식회담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Yonhap |
Seoul, Tokyo should untie Gordian knot
서울, 도쿄는 어려운 매듭을 풀어야 한다
President Yoon Suk-yeol and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have agreed on the need to mend Seoul-Tokyo ties soured by a dispute over wartime forced labor. The agreement came during their 30-minute one-on-one meeting Wednesday on the sidelines of the U.N. General Assembly in New York.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전시 강제징용을 둘러싼 분쟁으로 악화된 한일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번 합의는 수요일 뉴욕에서 열린 유엔 총회 참석 중 30분간의 일대일 회담에서 이루어졌다.
The meeting, which fell short of a summit, was described as "informal talks" by Yoon's office. It was held after both sides engaged in a war of nerves over whether to hold such a gathering between Yoon and Kishida. Tokyo had reportedly expressed displeasure at Seoul's announcement of the meeting before the two countries reached a final agreement on it.
대통령실은 정상회담에 못 미친 이번 만남을 "비공식(약식) 회담"이라고 표현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간의 이와 같은 회담을 개최할 것인지를 두고 양측이 신경전을 벌인 끝에 열렸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은 양국이 최종 합의에 도달하기 전에 한국이 회담을 발표한 것에 대해 불쾌감을 표시했다.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that the leaders met for the first time since December 2019 when then President Moon Jae-in and his counterpart Shinzo Abe had talks during a trilateral summit between South Korea, Japan and China. Yet, Yoon and Kishida still found it difficult to resolve thorny issues regarding the fraught history shared by the two countries.
그럼에도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회담한 2019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양국 정상이 만난 것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양국이 공유하는 아픈 역사와 관련한 까다로운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아직도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No one expected Yoon and Kishida to cut the diplomatic Gordian knot once and for all during their brief meeting. As a presidential official noted, the two countries have just taken the first step toward restoring ties and working together to cope with issues of mutual concern. In this sense, the meeting itself could raise hopes that Seoul and Tokyo will make sincere efforts to narrow their differences and move forward toward a better future.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짧은 만남에서 외교적으로 어려운 매듭을 단번에 풀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없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가 지적했듯이 양국은 이제 막 관계 회복과 상호 관심사에 대한 협력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뎠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만남 자체가 한일 양국이 이견을 좁히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진지한 노력을 할 것이라는 희망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If both countries resolve their differences over the issue concerning the compensation for surviving Korean victims of forced labor, they can step up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security, the economy, technology and climate change. It is worth noting that Yoon and Kishida shared concerns abou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and its preparation for a seventh nuclear test.
강제징용 생존 피해자 보상 문제를 놓고 이견을 해소한다면 양국은 안보, 경제, 기술,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북한의 핵개발 계획과 7차 핵실험 준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The two countries must collaborate to thwart North Korean military threats. Trilateral cooperation with the U.S. is also crucial to ensure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Seoul and Tokyo can also join hands to deal with the escalating great power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as well as create stable supply chains for strategic goods such as semiconductors and electric vehicle batteries.
양국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막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미국과의 3국 협력도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중요하다. 한국과 일본은 또한 미국과 중국 간 격화되는 강대국 경쟁에 대처하고 반도체 및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전략 물자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손을 잡을 수 있다.
In order to forge a future-oriented partnership, Seoul and Tokyo should spare no efforts to find a viable solution to the compensation issue. Yoon is taking a more flexible attitude toward the matter than his predecessor Moon Jae-in, who had taken a hardline stance on the issue against Japan. Now it is the time for Tokyo to change its uncompromising position that Seoul should revoke its top court's ruling, which states that Japanese firms should pay compensation to the forced labor victims.
미래지향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한일 양국은 강제징용 보상 문제에 대한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윤 대통령은 대일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던 전임 문재인 대통령보다 유연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일본 기업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을 하라는 대법원 판결을 한국이 철회해야 한다는 단호한 입장을 일본정부는 이제 바꿔야 할 때다.
What's regrettable is that Japan is still sticking to its argument that all reparation claims stemming from Japan's 1910-45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ettled under the 1965 basic treaty that normalized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s press announcement on the Yoon-Kishida meeting implied that nothing has changed on the compensation issue. This is casting a dark cloud over the prospect of settling the issue and looking to the future. We urge Japan to face up to its history squarely and reflect on its wartime atrocities, including sex slavery by its troops.
유감스러운 것은 일본이 1910-45년 한반도 식민통치에서 비롯된 모든 배상청구가 1965년 양국 관계를 정상화한 기본 조약에 의해 해결되었다는 주장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간 회담에 대한 일본 외무성의 언론 발표는 강제징용 보상문제에 변화가 없음을 시사했다. 이것은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로 나아가려는 전망에 어두운 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우리는 일본이 역사를 직시하고 일본군 위안부를 포함한 전시 만행을 반성할 것을 촉구한다.
9월 23일 (금)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Gordian knot 아주 힘든 문제
■ sour 틀어지다
■ on the sidelines of ~와는 별도로
■ fall short of ~이 부족하다
■ fraught 걱정스러운
■ step up 강화하다
■ thwart (계획 등을) 좌절시키다
■ forge 구축하다
■ revoke 철회하다
■ stick to ~을 지키다
■ stem from ~에 기인하다
■ atrocity (특히 전시의) 잔혹행위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