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80% of S. Koreans hold unfavorable opinions of neighboring country
한국인 80%, 이웃국에 대한 비호의적인 의견 가져
By Kang Seung-woo
South Korea marks three decades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today, and both countries have become important partners of each other,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China is Korea's No. 1 trading partner and Seoul is Beijing's fourth-largest export destination.
한국이 오늘(24일)로 한중 수교 30년을 맞이하는 가운데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 한국은 중국의 4위 수출국이라는 점에서 볼 수 있듯 양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다.
However, despite these quantitative developments, negative views of China have been increasing sharply among South Koreans, with the country becoming the second-least popular among South Korea's neighboring countries that also include Japan, North Kore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부정적 관점이 한국인 사이에서 가파르게 증가하며 일본, 북한, 러시아, 미국을 포함한 한국의 이웃국 중 중국이 두 번째로 덜 인기 있는 국가가 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U.S.-based Pew Research Center, South Koreans with negative views of China stand at 80 percent this year.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June of this year.
미국에 기반을 둔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중국에 대해 부정적 관점을 가진 한국인의 비율은 올해 80%에 이른다. 이 연구는 올해 2월부터 6월까지 실시되었다.
Based on its surveys conducted since 2002, anti-China sentiment has been growing steadily, from 31 percent in 2002 to 80 percent in 2022.
2022년부터 실시된 설문 조사에 기반하면 반중 감정은 2002년 31%에서 2022년 80%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also issued a report about its poll on South Korea's neighbors in June, and China was ranked fourth most popular after the U.S., Japan and North Korea.
아산정책연구원 역시 한국의 이웃국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중국은 미국, 일본, 북한 다음으로 한국에서 인기 있는 국가를 차지했다.
On a scale of zero to 10, China's favorability was 2.71, slightly ahead of Russia's 2.13 due to Russia's ongoing invasion of Ukraine. The U.S. had 6.8, followed by Japan's 3.67 and North Korea's 2.72. China's favorability had dropped significantly from 3.25 in December 2020.
0에서 10까지의 측정 등급에 의하면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2.71으로 우크라이나 침공을 진행 중인 러시아의 2.13보다 약간 앞섰다. 미국에 대한 호감도가 6.8, 일본이 3.67, 북한이 2.72이었다.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2020년 12월 3.25에서 크게 떨어졌다.
When asked to rate the favorability of major leaders from neighboring countries, respondents gave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 rating of 1.99, much lower than his average ratings in 2016 and 2017 that hovered between 3 and 4.44
이웃국의 핵심 인사에 대한 호감도를 측정하는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2016년과 2017년 3과 4.44 사이를 맴돌던 것보다 훨씬 낮은 1.99를 주었다.
According to Pew Research Center, South Korea's growing anti-China sentiment was heavily affected by China's economic retaliation following Seoul's approval of stationing a U.S.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missile defense system on its soil in 2016. The U.S. missile shield was brought to Seongju,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following year.
퓨리서치센터에 의하면 한국인의 증가하는 반중 감정은 2016년 한국 영토 내에 미국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미사일 방어 시스템 배치를 한국이 승인한 것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 보복에 큰 영향을 받았다. 미국 미사일 보호장치는 이듬해 경상북도 성주로 운반되었다.
KEY WORDS
■ quantitative 양적인
■ sharply 급격히
■ conduct (조사 등을) 실시하다
■ issue 발표하다, 공표하다
■ favorability 호감도
■ ongoing 계속 진행 중인
■ hover (불확실한 상태에) 계속 맴돌다
■ sentiment 정서
■ retaliation 보복
■ station 배치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