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m for future, but point out what Japan should do
미래지향적이되, 일본의 책임은 명확히 지적하라
President Yoon Suk Yeol's speech on the 104th anniversary of the March 1 Independent Movement was unprecedented in many ways.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기념사는 여러 의미에서 전례가 없었다.
First, the address was short. It was only half or one-third the length of his predecessors' speeches delivered on the same occasion. Yoon revised and reduced the draft to "send a clear, undispersed message befitting the occasion," an aide said.
우선, 연설의 길이가 짧았다. 같은 기념식에서 전 대통령들이 한 기념사의 절반 또는 3분의 1에 불과했다. 한 보좌관은 윤 대통령이 "기념식에 맞게 명확하고 분산되지 않은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초안을 수정하고 축소했다고 밝혔다.
His message was crystal clear, indeed.
윤 대통령의 메시지는 아주 분명했다.
Unlike all previous leaders, Yoon did not mention Japan's misdeeds during its colonial occupation or pending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e said, "Japan has transformed from a militaristic aggressor of the past into a partner that shares the same universal values with us."
윤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일제 강점기의 만행이나 한일 과거사 현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협력 파트너로 변했다"고 선언했다.
For this futuristic leader, the past does not matter; only the present and future are essential. Yoon said the nation should not forget independence fighters and their sacrifices. But how can Koreans remember patriotic martyrs without recalling their contributions on the very day to commemorate them?
이 미래 지향적인 지도자에게 과거는 중요하지 않다. 오직 현재와 미래만 중요하다. 윤 대통령은 국가가 독립운동가와 이들의 희생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는 바로 그 날 이들의 공헌을 떠올리지 않는다면 어떻게 잊지 않을 수 있을까?
The speech was unbalanced at best and totally out of place at worst.
윤 대통령의 연설은 잘 해야 균형을 잃은 정도고, 혹독히 말하자면 완전히 부적절했다.
Yoon also absolved the Japanese colonialists from their occupation of Korea by blaming the Joseon Kingdom more than a century ago. He said Korea lost its national sovereignty because it "failed to properly prepare for a changing world." There were no rebukes of aggressors, just parroting the colonial views of history injected by occupiers.
또한 윤 대통령은 한 세기도 더 전 조선을 비판함으로써 일본 제국주의의 한국 침탈에 면죄부를 주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이 국권을 상실한 이유를 "세계사 변화에 제대로 준비를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침략자에 대한 비판은 없고, 오로지 정복자가 주입한 식민사관을 답습하고 있었다.
The president's leap of logic peaked when he emphasized the need to restore ties with the estranged neighbor. "This spirit of solidarity and cooperation is the same spirit that called for our nation's freedom and independence 104 years ago," he said. We can see the need for trilateral ties with the U.S. to respond to security threats. However, we will never understand why collaboration with Japan conforms to the spirit of our ancestors who fought against Japan.
윤 대통령의 논리적 비약은 멀어진 일본과 관계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윤 대통령은 "연대와 협력의 정신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쳤던 정신과 같다"고 말했다. 안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 3자 공조가 필요하다는 것은 이해한다. 그러나 일본과의 협력이 왜 일본에 맞서 저항한 조상들의 정신과 부합하는지는 이해할 수 없다.
Yoon did his best not to aggravate Japan for two reasons — the three-way alliance to respond to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and the recovery of ties with Tokyo by settling the wartime forced labor issue in its final stage.
윤 대통령은 북핵 위협 대응을 위한 한미일 3자 협력, 그리고 전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문제를 놓고 일본과 막판 협의 단계라는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일본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애썼다.
Still, there are appropriate procedures for everything and ends cannot justify the means. Seeking cooperation with an unrepentant neighbor while ignoring the victims' rightful demands and swallowing our national pride cannot succeed or last long. Nothing shows this better than the fate of the hastily arranged agreement on former sex slaves in the last decade.
그러나 모든 일에는 적절한 절차가 있고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피해자들의 정당한 요구를 외면하고 국가적 자존심을 삭히면서 반성 없는 이웃과 협력을 모색하면 성공할 수도 오래갈 수도 없다. 지난 10년 간 급조된 위안부 합의의 운명보다 이를 더 잘 보여주는 것은 없다.
3월 3일 (금)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unprecedented 전례 없는
■ misdeed 비행, 악행
■ recall 상기하다
■ commemorate (중요 인물이나 사건을) 기념하다
■ unbalanced 불균형한
■ out of place 맞지 않는, 부적절한
■ absolve (~에 대해) 무조임을 선언하다
■ rebuke 질책하다, 꾸짖다
■ parrot 앵무새처럼 흉내내다
■ aggravate 악화시키다
사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