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벅찬 외교적 도전에 직면
President Yoon Suk Yeol, now on a state visit to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appears elated by the UAE's pledge to invest $30 billion in Korea. The two countries also agreed to boost bilateral ties in the areas of energy, construction and health. Yoon also plans to focus on economic issues during his planned visit to Switzerland for the annual World Economic Forum (WTF), often referred to as the Davos Forum.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에 3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는 UAE의 약속에 한껏 고무되어 있다. 양국은 에너지, 건설, 보건 분야에서 양자 관계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윤 대통령은 또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세계경제포럼(WTF) 연례회의 참석차 스위스를 방문하는 동안 경제 문제에 집중할 계획이다.
Despite the significant economic issues at play, Yoon is also burdened with a growing and toughened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For starters, North Korea is bent on building up its nuclear capabilities while showing no intention to return to dialogue. The United States, fresh from the end of the midterm elections, and China, now under the fortified grip of President Xi Jinping, are flexing their muscles in order to maintain the upper hand against each other.
중요한 경제 문제에 더해 윤 대통령은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환경이 점점 더 험난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 우선, 북한은 핵 능력 증강에 혈안이 되어 있고 대화에 복귀할 의사는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중간선거가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미국과 시진핑 주석의 강화된 지배 하에 있는 중국은 서로에 대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힘을 과시하고 있다.
In response, South Korea has been eager to beef up its prowess as a global middle power state. With this aim in mind, it has been focusing on strengthening its alliance with the U.S. and Japan in a bid to effectively counter the numerous threats from North Korea. The security situation in East Asia and on the peninsula is vital, but hasn't always been favorable to the Republic of Korea.
이에 비해 한국은 중견국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기를 원하고 있다. 북한의 많은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과의 동맹을 강화하는 데 주력해 왔다.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안보 상황은 매우 중요하지만, 한국에 항상 호의적이지는 않았다.
For one thing, Japan has been desperate to solidify ties with the U.S. after declaring its plans to be equipped with "counteroffensive capabilities" by discarding the principle of pacifism which it had kept since its defeat in World War II. The two nations held a series of meetings among top security-related officials, including a summit between U.S. President Joe Biden and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between Jan. 11 and 13 in Washington D.C.
우선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패전 이후 지켜온 평화주의 원칙을 폐기하고 '대응력'을 갖추겠다는 계획을 천명한 뒤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집중해 왔다. 양국은 11/13일 워싱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을 비롯해 안보 관련 고위급 회담을 잇달아 열었다.
The two sides agreed to realign the U.S. forces stationed in Japan in preparation for a possible invasion of Taiwan by China and expand the scope of the military alliance into space. Ahead of the summit, Kishida managed to expand the range of military cooperation through his visit to G-7 member states. Tokyo, for instance, signed a contract for mutual dispatches of troops with the United Kingdom.
양측은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비해 주일미군을 재배치하고 군사동맹의 범위를 우주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정상 회담을 앞두고 기시다는 G-7 회원국 방문을 통해 군사 협력의 범위를 확대했다. 예를 들어, 일본은 영국과 상호 파병 계약을 체결했다.
Rather worrisome, however, is the possibility that Japan's move toward rearmament, due to increasing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China, might prompt the neighboring country to engage in possible conflicts on the peninsula. Or additionally, it could nudge South Korea into getting involved in potential military confrontations in Taiwan.
그러나 오히려 우려되는 것은 북한과 중국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일본의 재무장 움직임이 한반도에서의 분쟁을 촉발할 가능성이다. 한국이 대만에서 잠재적인 군사적 충돌에 개입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Despite thi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shown signs of a crack developing, regarding Yoon's recent statement indicating the need for Seoul to possess nuclear weapons as a deterrence against the North's nuclear threats. The Defense Department's Press Secretary Brig. Gen. Pat Ryder expressed opposition to any move toward possible nuclear armament. "Our policy continues to remain focused on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e said during a press briefing Thursday.
한편 한국과 미국은 윤 대통령의 최근 북핵 위협에 대한 억지력으로 핵무기 보유의 필요성을 시사한 발언과 관련해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방부 대변인 브리그 팻 라이더 장군은 핵무장 가능성에 대한 어떠한 움직임에도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그는 목요일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의 정책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계속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Worse still, Beijing irritated Seoul and Tokyo due to its suspension of short-term visas for their respective nationals, from among the 20 countries which have recently fortified quarantine measures for travelers arriving from China. Yet, it has offered favorable policies to the U.S., normalizing flights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Australia, China has lifted the import embargo on coal. Against this backdrop, experts say that China was cynically attempting to drive a wedge between countries on the opposite side.
더욱이 최근 중국발 여행객에 대한 검역 조치를 강화한 20여 개국 가운데 중국이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해 한국과 일본을 자극했다. 그러나 미국에 대해서는 우호적인 정책으로 양국 간 항공편을 정상화했다. 호주의 경우, 중국은 석탄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국이 반대편 국가들 사이에 쐐기를 박으려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Such situations explain well the complexity of the reality faced by South Korea. This means the three allies ―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 do not exactly share the same interests when it comes to sensitive security issues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threats, relations with China and historical issues. It is time for foreign affairs and security authorities to extract the utmost amount of wisdom so that the Yoon administration can cope well with the ever-toughening situation on and around the peninsula.
이러한 상황은 한국이 처한 현실의 복잡성을 잘 설명해준다. 북한의 핵 위협, 중국과의 관계, 역사 문제 등 민감한 안보 현안에 대해 한·미·일 3국이 이해 관계가 서로 다르다는 뜻이다. 윤 대통령이 갈수록 심해지는 한반도 주변 정세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외교안보 당국이 최대한의 지혜를 짜내야 할 시점이다.
1월 17일 (화)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elated 마냥 행복해하는[신이 난]
■ (the) upper hand 우세, 우위
■ counter (무엇의 악영향에) 대응하다
■ discard (불필요한 것을) 버리다
■ prompt (어떤 일이 일어나도록) 하다[촉발하다]
■ crack (무엇이 갈라져 생긴) 금, 균열
■ denuclearization 비핵화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