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bank |
Samsung's falling profits ring alarm bells on Korean economy
삼성 영업이익 감소, 한국 경제에 경종 울려
Frustrated by a drastic drop in profits, Samsung Electronics' co-CEO has said the company will continue to brace for daunting challenges throughout this year. "Worsening external factors such as sluggish demand paired with rising costs have dealt a severe blow to Samsung," Samsung's vice chair and co-CEO Han Jong-hee said in a press briefing Friday during the 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2023 in Las Vegas. He said such unfavorable factors will continue to haunt the firm this year.
급격한 영업이익 감소에 실망한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삼성전자가 올해 내내 공격적인 도전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 2023' 기자 간담회에서 "수요 부진과 원가 상승 등 외부 요인이 악화되면서 삼성전자가 큰 타격을 입혔다"고 말했다. 한 부회장은 올해도 이 같은 악재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Han's remarks came after Samsung released a disappointing earnings guidance showing its operating profit in the fourth quarter of 2022plummeted 69 percent from plummeted a year earlier to just 4.3 trillion won ($3.4 billion). Samsung was also estimated to have registered 301.7 trillion won in annual sales, up 7.9 percent from 2021, exceeding the 300 trillion won range in yearly sales for the first time since it was founded.
한 부회장의 발언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4조 3000억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69% 급감했다는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한 뒤 나왔다. 삼성은 2021년보다 7.9% 증가한 30.17조원의 연매출을 기록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매출 30조원 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Yet such record performance was largely overshadowed by the drastic decline in operating profit. The sharp drop is expected to further dampen the national economy which relies heavily on exports for sustainability. The global economy has been struggling with a persistent economic recession, battered by surging commodity prices and high interest rates, resulting in sluggish demand for end-user products and semiconductors.
그러나 이러한 기록적인 실적은 영업이익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빛이 바랬다. 영업이익의 급격한 하락은 지속 가능성을 위해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한국 경제를 더욱 어렵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는 원자재 가격과 고금리의 영향으로 인해 최종 소비자 제품과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부진해지는 등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Some experts forecast Samsung and other chipmakers to be able to make a rebound once they endure the harsh business circumstance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But such an optimistic perspective appears too rosy given diverse factors. For starters, chip prices will likely decline for a while. TrendForce, a leading market intelligence provider, forecast DRAM and NAND flash memory chip prices to decline by 10 percent to 15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compared to the same period of 2022.
일부 전문가들은 삼성을 비롯한 반도체 업체들이 올 상반기 혹독한 환경을 견뎌내면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이러한 낙관적인 관점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때 지나친 장밋빛으로 보인다. 우선, 반도체 가격은 당분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선도적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 PC D램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 하락한 1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World Semiconductor Trade Statistics (WSTS) forecast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will dwindle 3 percent to 4 percent this year while market researcher Omdia said the prices of DRAM and NAND will likely drop 35 percent and 11 percent, respectively.
세계반도체무역통계(WSTS)는 올해 세계 반도체 산업의 성장이 3%에서 4%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시장조사업체인 옴디아는 D램과 낸드 가격이 각각 35%와 11%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Despite such dire circumstances facing the domestic chip industry, it is deplorable for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to have failed to provide full-fledged support for the relevant companies. The Assembly, in particular, has taken flak for raising the tax breaks for chip producers by a mere 2 percent to 8 percent last month.
국내 반도체 업계가 이런 절박한 상황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국회가 관련 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개탄스럽다. 특히 국회는 지난 달 반도체 생산업체에 대한 세금 감면을 불과 2% 올려 8%로 인상했다는 비난을 받아 왔다.
It is fortunate, albeit belatedly, for the Yoon administration to decide to increase the tax break to a maximum 25 percent. What matters is whether the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will cooperate for the legislation, as it is the majority party holding 169 of the 299-seat Assembly. The government is poised to pass the bill during an upcoming February extra parliamentary session. The DPK should offer full-fledged support to help revitalize the sagging semiconductor industry.
이런 면에서 정부가 세제 혜택을 최대 25%까지 늘리기로 결정한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중요한 것은 299석 중 169석을 차지하고 있는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협조 여부다. 정부는 다가오는 2월 임시국회에서 이 법안을 통과시킬 태세다. 민주당은 침체된 반도체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leaving no stone unturned to boost the chip industry as a key strategic sector. For instance, Taiwan, Korea's archrival, is seeking to expand the tax benefit to 25 percent from the existing 15 percent for its chipmakers. China is moving to cut the corporate tax by 50 percent to 100 percent.
전세계의 국가들은 핵심 전략 분야로서 반도체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한국의 최대 라이벌인 대만은 반도체 제조업체에 대한 세제 혜택을 기존의 15%에서 25%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은 법인세를 50% 인하해 100%까지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월 10일자 코리아타임스 사설
KEY WORDS
■ brace for ~에 대비하다
■ plummet 곤두박질치다, 급락하다
■ overshadow (~의 그늘에 가려) 빛을 잃게 만들다
■ rebound 만회, 반등
■ deplorable 개탄스러운
■ full-fledged 전폭적인
■ take flak 격렬한 비난을 감수하다
■ albeit 비록 ~할지라도
■ sagging 축 처진, 약해진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