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fill new year with embrace and harmony
새해를 포용과 화합으로 채우자
People greet the New Year with hopes, expectations and resolutions, although they know all these aims will probably prove futile a year on.
사람들은 희망과 기대, 다짐을 가지고 새해를 맞이하지만 이러한 목표들이 아마 1년 후에는 헛되게 된다는 것도 알고 있다.
Unfortunately, even those things appear cumbersome this year, however. The global political horizon is so uncertain that some historians compare today to the 1940s when superpowers readied themselves for a major conflict. The economy cannot be good worldwide, then.
안타깝게도 올해는 그런 다짐을 하는 것조차 버거워 보인다. 세계 정치의 시야가 너무 불확실해서 일부 사학자들은 오늘날을 초강대국들이 주요 분쟁에 대비하던 1940년대와 비교한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경제 상황이 좋을 수는 없다.
The domestic situation appears similar, or even worse, than that abroad.
국내 상황은 해외 상황과 비슷하거나 혹은 더 나빠 보인다.
South Koreans had to spend the last few days of 2022 with utter anxiety and restlessness as the two Koreas vied to launch "projectiles." North Korea's drone provocations days earlier triggered the South to abruptly send a vehicle into space in a game of one-upmanship. Seoul was in such a hurry that it didn't inform people about the "secret project" in advance, annoying and frightening many ordinary citizens.
남북이 ‘발사체'를 두고 경쟁하자 국민들은 2022년 마지막을 걱정과 초조함으로 보내야 했다. 며칠 전 북한의 무인기 도발에 한국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우주 발사체를 쏘아올렸다. 정부는 지나치게 조급한 나머지 이 ‘비밀 사업'을 사전에 공지하지 않아 많은 일반 시민들을 난처하고 불안하게 했다.
The shakier international political circumstances become, the more trust the two Koreas should build and possess in each other. Otherwise, the Korean Peninsula will become the arena of a proxy war — yet again — even before South Koreans realize it. This is no time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compete to help Ukraine and Russia. The North must stop provocations, and the South should refrain from belated overreactions but instead, calmly seek a breakthrough in the deadlocked ties.
국제 정세가 흔들릴수록 남북은 서로 신뢰를 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 국민이 깨닫기도 전에 한반도는 또 다시 대리전의 무대가 될 것이다. 지금은 남북이 경쟁하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도울 때가 아니다. 북은 도발을 멈춰야 하고, 우리는 한 발 늦은 과잉 대응을 자제하고 침착하게 현 교착 상태의 돌파구를 모색해야 한다.
On the domestic front, President Yoon Suk-yeol is set to initiate his Three Reforms initiative — labor, pensions and education — in 2023, despite the dark economic outlook. There is social consensus on the latter two. However, it has been challenging to reform the labor market even at the best of economic times because of conflicts in various strata of society. Moreover, President Yoon and his aides plan to tackle this demanding job by antagonizing, or almost demonizing unionized workers instead of negotiating with them.
국내 정세를 보면 윤석열 대통령은 어두운 경제 전망에도 불구하고 2023년 노동· 연금·교육 등 3대 개혁을 추진할 예정이다. 후자의 두 가지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있다. 그러나 사회 각계각층의 갈등 때문에 경제 상황이 좋을 때에도 노동시장 개혁은 쉽지 않았다. 더욱이 윤 대통령과 참모진은 노조원과 협상하는 대신 이들을 적대시하거나 거의 악마 취급하는 방식으로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The president is right to try to rectify the Korean labor market's dual structure. For instance, workers at large business groups get more than double the wages of their counterparts in smaller firms doing similar jobs.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바로 잡으려는 윤 대통령의 노력은 옳다. 예를 들어, 대기업 근로자는 유사한 일을 하는 소규모 회사의 근로자보다 월급을 두 배 이상 받는다.
However, the government must determine and correct employers' practices instead of driving them into a labor-labor conflict. Just think: what's wrong if the primary breadwinner of a four-member family receives 100 million won (about $80,000) or a little more a year when the nation's per capita income is $35,000? (Yoon vows to increase it to $40,000 by 2027.) The problem lies with employers who try to give less than half under the pretext of "longer-term future investment." In the long term, however, we all die. Workers, not capitalists, need protection, especially in difficult economic times like now.
그러나 정부는 고용주를 노사갈등으로 몰고 가기보다 고용주의 관행을 판단하고 바로 잡아야 한다.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5천달러인데 4인 가족의 가장이 1억원(8만달러)이나 그보다 조금 더 받는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 (윤 대통령은 2027년까지 이를 4만 달러로 증가시키겠다고 공언했다.) 문제는 ‘장기적 미래 투자'를 핑계로 절반도 안 되는 금액을 주려는 고용주들에게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우리는 모두 죽는다. 특히 지금과 같이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는 자본가가 아닌 노동자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
If the Yoon government cares about the livelihood of ordinary people, it must do two things sooner rather than later.
윤 정부가 민생을 생각한다면 하루 빨리 두 가지를 실현해야 한다.
First, it should do more to protect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global agencies, Korea's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 (CCPI) is 57th among 60 countries. If Korea does nothing about it, its businesses will face various sanctions abroad, find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operate normally. That will hamper the Yoon administration's job creation efforts.
첫째, 환경 보호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세계적 기관들에 따르면 한국의 기후변화 성과지수(CCPI)는 60개국 중 57위다.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한국 기업들이 해외에서 각종 제재를 받아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 걸림돌이 될 것이다.
Second, it must handle China carefully. The government was right to make it clear that its new Indo-Pacific strategy will not alienate specific countries, a.k.a. China. However, it will be easier said than done if the U.S. and Japan drive Korea in that direction. China's economic retaliation will affect many Korean companies.
둘째, 중국을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새로운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정부가 특정 국가, 즉 중국을 소외시키지 않을 것을 분명히 한 점은 옳았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이 한국을 그런 방향으로 유도한다면 전략 실천은 말처럼 쉽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경제적 보복은 다수의 한국 기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월 2일 (월)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resolution 결심
■ futile 헛된
■ cumbersome 성가신
■ proxy 대리의
■ provocation 도발
■ antagonize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