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수출, 고용, 투자 부진 지속 전망
Clouding the prospects of the already-sagging economy, the nation will likely continue to face tectonic challenges next year such as declining exports coupled with sluggish employment and investment. Major businesses are becoming defensive, reminiscent of bears going into winter hibernation. No one can blame them as they are desperate to cope with the harsh situation.
가뜩이나 침체된 경제의 전망이 더욱 흐려지고 있다. 한국은 내년에도 수출 감소, 고용 및 투자 부진과 같은 구조적인 도전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곰들이 겨울잠에 들어가는 것을 연상시키듯 주요 기업들이 방어에 나서고 있다. 혹독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필사적 노력이기에 아무도 비난할 수 없다.
A survey released on Sunday by the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KEF) vividly testifies to this dire outlook. It shows that only 54.2 percent of respondents have managed to set up their New Year business plan. More than 90 percent of them preferred either belt-tightening measures or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ey are poised to focus on saving costs (72.4 percent), securing liquidity (31 percent) and realigning human resources management (31 percent).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3일 발표한 설문조사는 이같은 비관적 전망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응답자의 54.2%만이 새해 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이들 중 90% 이상이 긴축이나 현상 유지를 선호했다. 비용절감(72.4%), 유동성 확보(31%), 인력관리 재편(31%) 등에 집중할 태세다.
Adding fuel to this fire, the nation's exports will likely remain lackluster at zero growth next year. The envisioned slowdown of outbound shipments is ever more serious as they have been buttressing the national economy. A survey on export prospects for 2023 showed businesses expect overseas sales to increase by only 0.5 percent from this year.
이 불길에 기름을 붓듯 한국의 수출은 내년에 0%대 성장의 부진을 면치 못할 듯하다. 수출이 국가 경제를 지탱해 왔기 때문에 더욱 심각하다. 2023년 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기업들은 올해보다 해외 매출이 0.5%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The poll, released b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FKI), was conducted on enterprises of 12 major business sectors. Among some 150 companies that answered the survey, those in leading export items such as energy, electronics and petrochemicals estimated that growth will turn to negative territories.
전경련이 발표한 이번 여론조사는 12개 주요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에 응한 150여개 기업 가운데 에너지, 전자, 석유화학 등 주력 수출품목은 성장세가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추정했다.
Energy and petrochemicals are forecasted to contract by 1.9 percent and 0.5 percent, respectively. Weakened export competitiveness, arising from high-priced resources and materials paired with the continuing economic recession in major export markets, is considered a major obstacle in outbound shipments. This is an alarm bell to the national economy, which has a heavy reliance on exports.
에너지와 석유화학은 각각 1.9%와 0.5%의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 수출 시장에서 계속되는 경기 침체와 함께 고비용의 자원과 재료로 인해 발생하는 수출 경쟁력 약화는 수출의 주요 장애물로 간주된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경종을 울리는 대목이다.
A decline in exports may lead to an expanding trade deficit, dealing blows to fiscal soundness and external credit, thus dampening the economic vitality of the nation. This, therefore, requires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to strengthen their commitment to rejuvenating exports. Fortunately, many governments have recently begun to show an intention to purchase South Korea's nuclear reactors and military weapons.
수출 감소는 무역 적자 확대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재정 건전성과 대외 신용도에 타격을 입혀 국가의 경제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수출 활력 회복에 대한 더욱 강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다행히도, 여러 나라들이 최근 한국의 원자로와 군사 무기를 구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Against this backdrop,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is significant.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should engage more proactively in negotiations with relevant governments to facilitate the exports of products as they are pertinent to national security and infrastructure. It is encouraging that the exports of related products have been showing signs of booming recently, boosted by the government's endeavors.
이런 상황에서는 특히 정부의 역할이 막중하다. 윤석열 행정부는 관련 품목이 국가안보와 사회기반 시설에 해당하는 만큼 제품 수출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해당 정부와의 협상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최근 관련 제품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Yoon vowed to fully support businesses in their bids to increase exports, calling on all relevant ministries to roll up their sleeves toward that end.
윤 대통령은 수출 증대를 위한 기업들의 노력을 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면서 모든 관련 부처들이 이를 위해 팔을 걷어붙일 것을 촉구했다.
Regarding how to tackle the looming setbacks, 35.5 percent of KEF survey respondents cited the need to reduce costs, while 20.3 percent and 15.3 percent unveiled plans to refrain from further recruiting and postpone investments, respectively. Most of them wanted the administration to take more effective and feasible policies to boost investor sentiment.
경총 조사 응답자의 35.5%는 비용 절감의 필요성을, 20.3%와 15.3%는 신규 채용을 자제하고 투자를 연기할 계획을 밝혔다. 이들 대부분은 정부가 기업의 투자심리를 끌어올리기 위해 보다 효과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을 취하기를 원했다.
What is noteworthy is that 25.4 percent of businesses replied that they would increase investments should the government-initiated bill for lowering the corporate tax pass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FKI poll, 38 percent of respondents wanted to get tax incentives when acquiring resources from abroad, citing it as essential to fortify their export prowess.
주목할 만한 점은 정부가 발의한 법인세 인하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기업의 25.4%가 투자를 늘리겠다고 응답했다는 점이다. 전경련 조사에서 응답자의 38%는 해외에서 자원을 수입시 세제 혜택을 받기를 원했으며, 이는 수출 능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The Yoon administration should provide businesses with full-fledged support so that they can compete with their counterparts from other countries on an equal footing in global markets.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get rid of unfavorable barriers in the way of their business activities. The national economy will be enhanced despite diverse looming challenges only when the government and the political parties join efforts to keep businesses afloat and let them gain momentum.
정부는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다른 나라 기업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업 활동에 있어 불리한 장벽을 제거해야 한다. 정부와 정치권이 기업 살리기에 동참하고 힘을 모아야 다양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국가 경제가 발전할 수 있다.
2022년 12월 22일 (목)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sag 약화되다, (수적으로) 줄어들다
■ tectonic (지질) 구조상의
■ dire 대단히 심각한, 몹시 나쁜
■ lackluster 활기를 잃은
■ outbound 떠나는[나가는]
■ pertinent (특정한 상황에) 적절한
■ feasible 실현 가능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