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공의가 없어 입원 진료를 중단한 인천 남동구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한국일보 이환직 기자 |
Government must prevent collapse of children's medical care
정부, 어린이 의료 붕괴 막아야
A local hospital made headlines on Monday, announcing that it will not offer hospitalization services for sick children temporarily.
월요일 한 지역 병원은 아픈 아이들에게 일시적으로 입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The reason was simple: the hospital has only one pediatric resident left.
그 이유는 간단했다. 병원에는 소아과 레지던트가 한 명만 남았다.
One might think the hospital was a small neighborhood clinic. Yet the institution ―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 is one of Korea's five largest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number of beds. It is located in Incheon, the nation's third-largest metropolis and home to a global airport.
그 병원이 작은 동네 진료소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천대 길병원은 병상수 기준 국내 5대 의료기관 중 하나다.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대도시이자 글로벌 공항이 있는 인천에 위치하고 있다.
The shocking news demonstrated how fast Korean pediatricians are leaving the medical field. Even more astonishingly, few in the medical community were surprised at the news, thinking it was inevitable.
이 충격적인 소식은 한국 소아과 의사들이 얼마나 빨리 의료계를 떠나고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의료계에서 불가피한 일이라고 놀라워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So, parents whose children have fevers of 40 degrees must wander around to hospitals for hours at night or on weekends. Greeting them in emergency rooms are mostly pediatric specialists in their 50s and 60s, as medical residents in the pediatric field have transferred to other specialties. Parents who get to meet doctors at all are fortunate because many return home after waiting hours to no avail.
그래서 열이 40도가 넘는 아이를 둔 부모들은 밤이나 주말에도 몇 시간씩 병원을 돌아다녀야 한다. 응급실에서 그들을 맞이하는 이들은 대부분 50~60대 소아과 전문의들이다. 의사를 만날 수 있는 부모는 운이 좋은 편인데, 많은 이들이 몇 시간을 기다린 후 집으로 돌아오지만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This pathetic scene and Korea having the lowest birthrate in the world pose another question: which comes first, the chicken or the egg?
이 안타까운 풍경과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자랑하는 한국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라는 또 다른 질문을 던진다.
Low birthrates are a common problem in industrialized countries. Still, nowhere else is this problem more serious than here, as the continually plunging fertility rate sharply reduces the number of child patients. These young patients are also far more challenging to treat than adults, requiring more nurses and higher labor costs. On the other hand, infants and adolescents consume fewer medications and undergo fewer tests. If something goes wrong, anxious and angry parents could end up cursing or even hitting doctors ― or bringing them to court.
저출산은 산업화된 국가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다. 그러나 계속되는 출산율의 급락으로 소아 환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이곳만큼 문제가 심각한 곳은 없다. 또 이러한 어린 환자들은 성인보다 치료하기가 훨씬 더 까다로워 더 많은 간호사와 더 높은 인건비가 필요하다. 반면에 영유아는 약물을 적게 사용하고 검사를 적게 받는다. 무언가 잘못되면 불안하고 화난 부모는 결국 의사를 욕하거나 심지어 때리거나 법정에 데려갈 수도 있다.
However, medical fees are too low to keep pediatricians in the field. Medical policymakers and the state health insurance agency have set reimbursement levels based only on the theory of supply and demand. However, pediatrics ― and the entire medical industry for that matter ― is one area that cannot be entirely left to the invisible hand. Korea is a free democracy guaranteeing occupational freedom for all people, even if they are well-paid physicians. The state cannot force people to take difficult, demanding or low-paying jobs.
하지만 소아과 의사를 현장에 두기에는 의료비가 너무 저렴하다. 의료 정책 입안자와 국가 건강 보험 기관은 수요와 공급 이론에만 기초하여 상환 수준을 설정했다. 그러나 소아과,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한 전체 의료 산업은 보이지 않는 손에 완전히 맡길 수 없는 영역이다. 한국은 보수가 좋은 의사라도 모든 사람에게 직업의 자유를 보장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다. 국가는 사람들에게 어렵고 까다롭거나 저임금 직업을 갖도록 강요할 수 없다.
That explains why in the U.S., they give seemingly great rewards to chest surgeons who conduct cardiovascular operations. There, the health authorities put aside economic feasibility, knowing the impact on society if they don't do so. In Sweden, the government measures regional pregnancies, childbirths, newborn care, fetal deaths and infant mortality rates. The state also provides free prenatal checks and medical care. Japan formed a network for newborns a decade ago and has collected data. The Japanese government registers premature babies weighing 2.5 kg or less and subsidizes all treatment costs from the 22nd week.
그래서 미국에서는 심혈관 수술을 하는 흉부외과 의사에게 큰 포상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보건 당국은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사회에 미칠 영향을 알기에 경제적 타당성을 제쳐둔 것이다. 스웨덴에서는 정부가 지역별 임신, 출산, 신생아 돌보기, 태아 사망 및 영아 사망률을 측정한다. 또 스웨덴 정부는 무료 산전 검사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본은 10년 전 신생아를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했고 데이터를 수집했다. 일본 정부는 2.5kg 이하 미숙아를 등록하고 22주차부터 모든 치료비를 지원한다.
Compare these efforts with those of the Korean government, which has recently raised child-rearing incentives from 700,000 won ($540) to 1 million won monthly for children under 11 months old. In contrast, a professor recently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 100 million won per newborn. In terms of money alone, even that amount would be far too small. Some doctors predict few delivery doctors will remain after a decade.
이러한 노력을 최근 11개월 미만 아동에 대한 양육 장려금을 월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인상한 한국 정부의 노력과 비교해보라. 반면 최근 한 교수는 한국 정부가 신생아 1명당 1억 원을 지원하자고 제안했다. 돈으로만 따지면 그 금액도 너무 적다. 일부 의사들은 10년 후에도 분만 의사가 소수만 남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The ongoing situation shows another fundamental problem across Korea. In this society gripped by individualism and familism, people do not join forces to build infrastructure commonly needed for the community, whether it is healthcare or education. So, parents harshly criticize the ever-changing college entry system but push their children into it no matter what, without trying to improve the whole system by working together. Likewise, parents only care about raising their children ― no matter how expensive it is ― instead of expanding public childcare.
현재 진행 중인 상황은 한국 전역의 또 다른 근본적인 문제를 보여준다. 개인주의와 가족주의에 사로잡힌 이 사회에서는 의료든 교육이든 공동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사람들이 힘을 합치지 않는다. 그래서 학부모들은 변화무쌍한 입시제도에 대해 호되게 비판하면서도, 함께 힘을 합쳐 전체 제도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무슨 일이 있어도 아이들을 밀어붙인다. 마찬가지로 부모들은 공적보육을 확대하기는커녕 돈이 아무리 많이 들어도 자녀 양육에만 신경을 쓴다.
Th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cannot waste any more time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pediatric care system. It must take all the steps available immediately and comprehensively. Ideology and even major issues like national security can be considered later if people are not having children and hard-won babies are getting sick and dying.
윤석열 정부는 소아과 진료 시스템의 붕괴를 막는데 더 이상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 즉각적이고 포괄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사람들이 아이를 갖지 못하고 힘들게 얻은 아기가 병들고 죽어갈 때 이데올로기와 심지어 국가안보와 같은 중요한 문제는 나중에 고려될 수 있다.
The situation will become an even more severe medical crisis than the COVID-19 pandemic next March when senior residents become specialists. Korea's field of pediatrics as a whole needs CPR.
내년 3월 노인들이 전문의가 되면 코로나19 대유행보다 더 심각한 의료 위기 상황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소아과 분야는 전체적으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
12월 16일 (금)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hospitalization (장기간의) 입원
■ pediatric 소아과(학)의
■ metropolis 주요 도시
■ astonishing 정말 놀라운, 믿기 힘든
■ inevitable 불가피한, 필연적인
■ wander 거닐다, 돌아다니다, 헤매다
■ pathetic 불쌍한, 애처로운
■ industrialized 선진 공업국
■ plunge 급락하다
■ fertility 비옥함, 생식력
■ undergo 겪다
■ anxious 불안해하는, 염려하는
■ end up 결국 (어떤 처지에) 처하게 되다
■ curse 욕(설)을 하다
■ reimburse 배상[변제]하다
■ demanding 부담이 큰, 힘든
■ conduct (특정한 활동을) 하다
■ cardiovascular 심혈관의
■ feasibility 타당성
■ mortality rate 사망률
■ rear (어린 아이동물을) 기르다, 양육[부양]하다
■ delivery 출산, 분만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