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U.S. President Joe Biden, left, arrives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for a meeting on the sidelines of the G20 summit meeting, Monday, Nov. 14, in Bali, Indonesia. AP-Yonhap |
Biden, Xi show signs of thawing strained ties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 긴장관계 해빙의 조짐 보여
U.S. President Joe Biden and his Chinese counterpart Xi Jinping sought to "manage differences" on contentious issues during their landmark in-person meeting on the sidelines of the G20 summit in Bali, Indonesia, Monday. Fortunately, they toned down the Cold War rhetoric to prevent already-tense U.S.-China relations from deteriorating further.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월요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G20 정상회담을 계기로 열린 획기적인 대면 회담에서 논쟁적인 문제에 대한 "차이점을 관리"하고자 했다. 다행히 두 정상은 이미 긴장된 미중 관계가 더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냉전적 수사를 누그러뜨렸다.
What's notable is that the two leaders tried to find common ground and share common interests, although they clashed over thorny issues such as Taiwan. They sounded conciliatory compared to their previous harsh rhetoric toward each other. This eased tone was reflected in Biden's remark: "The U.S. would compete vigorously, but I'm not looking for conflict." He certainly did not want t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spill over into conflict.
주목할 점은 두 정상이 대만 등 첨예한 현안을 놓고 충돌하면서도 공통점을 찾고 공동의 이해관계를 공유하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서로에 대한 이전의 거친 언사에 비해 이들은 화해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 완화된 어조는 "미국은 활발하게 경쟁하겠지만 나는 갈등을 예상하지는 않는다"는 바이든의 발언에 반영되어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분명히 두 나라 사이의 긴장이 갈등으로 번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Xi reciprocated what Biden said. He told the U.S. president that the world is big enough for both countries to prosper and compete.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China and the United States share more, not less, common interests," he said. He also clarified that China does not seek to challenge the U.S. or change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시 주석도 바이든 대통령의 말에 화답했다. "세계는 두 나라가 번영하고 경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현재 상황에서 중국과 미국은 더 많은 공동 이익을 공유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중국이 미국에 도전하거나 기존의 국제질서를 바꾸려 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Yet, there still remain differences over a set of tricky issues. Xi warned Biden over Taiwan. He called Taiwan the first "red line" that must not be crossed in China-U.S. ties. Biden reaffirmed U.S. commitment to Beijing's "One China" policy, to avoid worsening bilateral ties which were strained by House Speaker Nancy Pelosi's visit to the self-ruled island in August. Xi already has not ruled out the use of force to realize reunification with Taiwan, which Beijing claims to be part of China. Biden reassured the U.S. position that Washington is against Beijing's coercive and aggressive actions toward Taiwan.
하지만 일련의 난제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존재한다. 시 주석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대만에 대해 경고했다. 시 주석은 대만을 중미 관계에서 넘어서는 안 되는 첫 번째 "레드 라인"이라고 불렀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자치 통치 섬인 대만 방문으로 경색된 양국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한 미국의 공약을 재확인했다. 시 주석은 이미 중국이 자국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대만과의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무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대만에 대한 중국의 강압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에 반대한다는 미국의 입장을 반복했다.
Nevertheless, it is encouraging to see that the two leaders managed to find common ground on Russia's threat to use nuclear weapons in Ukraine. Biden and Xi shared the same opinion that a nuclear war should never be fought and can never be won. Now they need to do more to help bring an end to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as part of their joint efforts to promote global peace and stability.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지도자가 우크라이나에서 핵무기를 사용하겠다는 러시아의 위협에 대해 가까스로 공통점을 찾아낸 것은 고무적이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핵전쟁은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되며 핵전쟁에서 승리는 없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이제 그들은 세계 평화와 안정을 증진시키기 위한 공동 노력의 일환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종식시키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
Also drawing keen attention is Biden's bid to prod China to restrain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Biden told Xi that Beijing has an obligation to dissuade Pyongyang from conducting its seventh nuclear test. He warned that the North's further military threats risk increasing the U.S. military and security presence in the region. However, it was not known how Xi responded to Biden's warning.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으로 하여금 북한의 핵 야욕을 억제하도록 한 노력 또한 주목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중국은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지 못하도록 설득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 군사 위협은 이 지역에 미 군사력과 안보 조치를 증강시킬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시 주석이 바이든의 이런 경고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We urge Xi to join efforts by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to discourage the North from pressing ahead with another nuclear test, which is reportedly aimed at developing tactical nuclear warheads. China should take a more active role in achieving a common goal of denuclearizing the North. Such a role could be the first step toward defusing tensions in the superpower rivalry between China and the U.S. as well as ensuring peace and stability in East Asia.
우리는 시 주석이 전술 핵탄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의 또 다른 핵실험을 강행하지 못하도록 한미일 3국의 노력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중국과 미국 간의 초강대국 경쟁의 긴장을 완화하고 동시에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11월 16일 (수)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thaw 녹다
■ strained 긴장한, 껄끄러운
■ contentious 논쟁을 초래하는
■ tone down 부드럽게 하다
■ thorny 곤란한, 골치 아픈
■ conciliatory 달래는, 회유하기 위한
■ spill over 넘치다, 번지다
■ reciprocate 화답하다, 응답하다
■ coercive 강압적인
■ prod 재촉하다, 촉구하다
■ dissuade (~을 하지 않도록) ~를 설득[만류]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