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nstallation view of Iris Perez Romero's exhibition "The Art of Resilience," at The Trinity Gallery in Seoul / Courtesy of The Trinity Gallery 서울에 위치한 트리니티 갤러리에서 열리는 이리스 페레즈 로메로의 ‘The Art of Resilience'전 내부 사진 |
By Kwon Mee-yoo
Dominican artist Iris Perez Romero's works reflect her country's resilience and diversity.
도미니카 출신 아티스트 이리스 페레즈 로메로의 작품은 도미니카의 회복력과 다양성을 담고 있다.
Perez visited Korea last month to host an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6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the Dominican Republic and take part in an artist residence program on Nami Island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지난달 페레즈는 한국과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 진행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한편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남이섬에서 열린 예술가 체류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Korea is a country that holds a special place in my heart. This is my second visit to Korea and I think Koreans are the 'Latins' of Asia. I have found many similarities, especially in the history and people's personalities," she told The Korea Times.
페레즈는 코리아타임스에 "한국은 내 마음 속에 특별한 장소로 자리잡은 나라이다. 이번이 한국에 두 번째로 방문한 것인데, 한국인들은 아시아의 ‘라틴족' 같다. 특히 역사와 사람들의 성격에서 비슷한 점을 많이 찾았다"고 전했다.
"The Dominican Republic is an island, but went through many ups and downs just like Korea. I wish my art could convey the message of resilience and connection to Koreans," she said.
"도미니카 공화국은 섬나라이지만 한국처럼 많은 부침을 겪었다. 내 작품이 한국인에게 회복과 연결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Her exhibit, "The Art of Resilience," was co-organized by the Embassy of the Dominican Republic in Korea and The Trinity Gallery to strengthe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그녀의 작품을 전시한 ‘The Art of Resilience' 전은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과 한국 트리니티 갤러리가 함께 주최했으며 이는 두 나라 사이 관계를 돈독하게 했다.
Most of Perez's works focus on female figures, a theme she has worked with for a long time.
페레즈의 작품은 대부분 여성 인물들에 초점을 두는데, 이는 페레즈가 오랫동안 작업한 주제다.
"Women of the Dominican Republic are exposed to violence, and I thought I had to send a message through art. Women have many problems, such as job, educational and financial difficulties. I think solving these problems is the process of (finding a) cure and recovery and figures in my works are results of such resilience," she said.
"도미니카 공화국의 여성들은 폭력에 노출되어 있고, 나는 예술을 통해 메세지를 전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여성들은 직업, 교육 및 재정적 어려움과 같이 많은 문제들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곧 치유와 회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했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그러한 회복력의 결과물"이라고 전했다.
"Despite the heavy duties on women's shoulders, their efforts are often underestimated. In the Dominican Republic, women have fewer chances of getting a job with the high gender pay gap. Women are a (social) minority in society. My work lets the world know of the struggles women go through and how they fight against the hardship and discrimination."
"여성의 어깨에 무거운 의무들이 지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노력은 종종 과소평가된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여성은 직업을 가질 기회가 더 적으며 남녀 임금 격차도 크다. 여성은 사회 내에서 (사회적) 약자이다. 내 작품은 여성이 겪는 투쟁 및 이들이 어떻게 어려움과 차별에 맞서 싸우는지를 보여준다."
Perez referred to her country as a symbol of resilience, as its people have been fighting against political challenges as well as racial and other forms of discrimination.
페레즈는 도미니카 사람들이 정치적 어려움뿐만 아니라 인종 및 다른 형태의 차별과 맞서 싸우고 있는 만큼 도미니카는 회복력을 상징하는 나라라고 설명했다.
"There are many social problems in the Dominican Republic now, but we continue to fight and try to pursue virtue," the artist said.
이 아티스트는 "현재 도미니카 공화국에는 사회적 문제가 많지만, 우리는 이에 계속 맞서고 선함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Immigrants are another important element of the Dominican Republic. It is a country with racial and ethnic diversity, and there are people who avoid the issue due to discrimination. I think it is important for the people and society to accept diversity," she said.
"이민자들은 도미니카 공화국의 중요한 요소다. 도미니카 공화국은 인종과 민족적 다양성이 있는 국가지만, 차별로 인해 이런 주제를 피하는 사람들이 있다. 시민들과 사회가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Her latest works were cre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erez once again explores the theme of resilience in them.
페레즈의 최근 작품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제작되었으며, 페레즈는 다시 한 번 작품에 담겨있는 회복력을 탐구한다.
"At first, people struggled at staying at hom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I interpreted them as flowers blooming out of people lying in bed, waiting for the pandemic to pass by and preparing for recovery," she explained.
"처음에는 사람들이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집에만 칩거하며 힘든 시간을 보냈다. 이들을 침대에 누워 팬데믹이 지나갈 때까지 인내하며 회복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서 피어난 꽃으로 해석했다"고 전했다.
"Art is a weapon for us (to fight the pandemic). There were many ways to deal with the COVID-19 pandemic and scientists invented new medicine. However, the medicine could not find a cure for the soul of the people. Art has the power of connecting people to people. I hope those who see my paintings contemplate what the pandemic brought us and the power of solidarity," she said.
"예술은 우리가 (팬데믹을 이겨낼) 무기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다루는 방법은 많았고 과학자들은 신약을 개발했다. 하지만 의약품은 사람들의 영혼은 치유하지 못했다. 예술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내 작품을 관람한 사람들이 팬데믹이 우리에게 가져온 것과 연대의 힘에 대해 고려해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KEY WORDS
■ reflect 나타내다, 반영하다
■ resilience (충격•부상 등에서의) 회복력
■ commemorate (중요 인물•사건을) 기념하다
■ take part in ~에 참여하다, 가담하다
■ convey (생각•감정 등을) 전달하다
■ underestimate (사람을) 과소평가하다
■ struggle 투쟁하다, 몸부림치다
■ refer to ~에 돌리다, 언급하다, ~에 적용되다
■ pursue 추구하다
■ interpret (특정한 뜻으로) 이해하다, 해석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