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reakwater's "Fermented Flower" and audio recording of "Yellow Furry Lullaby" will be on view at the ARKO Art Center in central Seoul until Jan. 21, 2023, as part of the ongoing group exhibition, "Local in the Making." Courtesy of ARKO Art Center 브레이크워터의 ‘켜켜이 꽃'과 ‘노란털 자장가'의 오디오 녹음이 2023년 1월 21일까지 현재 진행 중인 그룹전 ‘일시적 개입'의 일환으로 서울 중구 아르코아트센터에서 전시된다. |
By Park Han-sol
On one wintry night in February 2004, across the treacherous sandflats of Morecambe Bay in northwest England, dozens of Chinese cockle pickers were already hours into filling their buckets with heaps of bivalves.
2004년 2월의 어느 겨울 밤, 영국 북서부에 있는 모어캠 만의 위험한 모래 평원을 가로질러 새조개 채취를 업으로 하는 수십 명의 중국인들이 이미 몇 시간이나 양동이에 이매패 더미를 채우고 있었다.
Their back-breaking toil would earn them a pittance of five pounds per 25-kilogram bag at the end of the day. Any other profit made from the lucrative trade would be pocketed by the local criminal agents, who trafficked the workers illegally from poverty-stricken provinces of China into the United Kingdom.
이 노동자들의 허리가 끊어질 듯한 수고는 하루가 끝날 때 25kg 가방 당 5파운드의 적은 돈을 벌어 주었다. 이 수익성이 좋은 무역에서 얻은 다른 이익은 빈곤에 시달리는 중국 지방에서 영국으로 노동자들을 불법적으로 매매하던 지역 범죄 요원이 차지하고는 했다.
But on this particular night, the migrant cockle harvesters' "shift" was about to be cut short by an unforeseen tragedy.
그러나 이날 밤에는 이 이주 새조개 채집가들의 "교대"는 예상치 못한 비극으로 인해 중단되기 직전이었다.
Unfamiliar with the local geography and language, the laborers failed to notice anything strange about the turning of the tide. Twenty-three were swallowed up by the capricious waves and drowned in a matter of minutes.
현지의 지리와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이주 노동자들은 조류 변화에 있어 이상한 점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이들 중 스물 세 명은 변덕스러운 파도에 삼켜져 몇 분 만에 익사했다.
London-based Korean artist duo Breakwater has brought to the fore the memory of the 2004 disaster ― a tragedy that goes largely unremembered outside of the U.K. ― through the multimedia tapestry installation, "Fermented Flower," appliqued with the imagery of cockles containing the names of each Chinese victim.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한국 아티스트 2인조 ‘브레이크워터'는 2004년 영국 밖에서는 거의 기억되지 않는 비극인 재난의 기억을 전면에 부각시키며 작품 ‘켜켜이 꽃'을 통해 중국인 희생자들의 이름을 담은 꼬막의 이미지를 응용한 멀티미디어 태피스트리를 설치했다.
But even a quick glance at the four-meter-wide textile installation, which is currently on view at Seoul's ARKO Art Center for the group exhibition, "Local in the Making," makes it immediately clear that the composite image-heavy screen has many more stories to tell.
그러나 현재 서울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리는 그룹전 ‘일시적 개입'을 위해 전시되고 있는 폭 4미터의 텍스타일 설치물을 흘끗 보기만 해도 합성 이미지가 많은 이 스크린이 더 많은 이야기 거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In fact, "Fermented Flower" visualizes Yongsook Choi and Taey Iohe's much larger, multifaceted approach to trace the layered history of labor migration in Asia that picked up momentum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following the emancipation of enslaved African Americans.
사실 '켜켜이 꽃'은 19세기 후반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 해방 이후 탄력을 받은 아시아 노동이주의 다층적 역사를 추적하는 최영숙과 이오헤 태이의 훨씬 더 크고 다면적인 접근을 가시화한다.
Tens of thousands of indentured workers, mainly hailing from East and South Asian countries, like China and India, were brought to the United States, Latin America, the Caribbean and even South Africa to replace the loss of slave labor.
주로 중국, 인도와 같은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 국가에서 온 수만 명의 연한계약 노동자들이 노예 노동력의 손실을 대체하기 위해 미국,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심지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데려왔다.
Suffering from substandard living conditions and high death rates, these low-wage laborers toiled away in the transnational railroad of the western U.S., in the gold mines of South Africa, in the guano fields of Peru and in the sugar plantations of Hawaii.
열악한 생활 조건과 높은 사망률에 시달리는 이 저임금 노동자들은 미국 서부의 다국적 철도, 남아프리카의 금광, 페루의 구아노 밭,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했다.
"The indentured servants of Asian descent used to be derogatorily referred to as 'coolies.' Today, the word has largely faded from everyday use," Iohe told The Korea Times in a recent joint interview with Choi.
아이오헤는 최근 최영숙과의 공동 인터뷰에서 코리아타임스에 "계약직 아시아계 하인은 경멸적으로 '쿨리'라고 불렸다. 오늘날 이 단어는 일상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But it wasn't just the term that disappeared from public memory. Its whole racially charged history has faded into oblivion as well."
"하지만 대중의 기억에서 사라진 것은 이 용어뿐만이 아니다. 인종 차별적인 역사 전체도 망각 속으로 사라졌다."
KEY WORDS
■ treacherous (특히 겉보기와 달리) 위험한
■ cockle 새조개
■ heap 더미[무더기]
■ bivalve 쌍각류 조개
■ back-breaking 등골 빠지는
■ toil 노역, 고역
■ pittance 아주 적은[얼마 안 되는] 돈
■ lucrative 수익성이 좋은
■ -stricken (~에[으로]) 시달리는, 고통 받는
■ shift 교대 근무
■ unforeseen 예측하지 못한, 뜻밖의
■ cut short [행동 따위]를 갑자기 끝내다
■ multifaceted 다면적인
■ emancipation 해방
■ enslave (사람을) 노예로 만들다
■ capricious 변덕스러운
■ toil away 피땀 흘려 일하다
■ indentured servant (식민 시대에 미국으로 건너간) 계약 노동자
■ derogatorily (권위· 명예를) 경멸적으로
■ oblivion 잊혀짐, 망각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