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merican music producer/songwriter Justin Reinstein / Courtesy of Justin Reinstein 미국인 프로듀서 겸 작곡가 저스틴 라인슈타인 |
'K-pop format allows limitless musical experimentation'
‘K팝 구성 방식은 제한 없는 음악적 실험을 가능하게 한다'
By Dong Sun-hwa
When American music producer/songwriter Justin Reinstein first stumbled upon K-pop, he felt like he'd discovered the best home for his music.
미국 출신 프로듀서 겸 작곡가 저스틴 라인슈타인이 처음 K팝을 우연히 접했을 때 그는 자신의 음악을 위한 최적의 집을 찾은 느낌이었다.
"My foray into K-pop followed soon after I signed a songwriting deal with a Japanese management company (a few years ago), and my transition was relatively seamless," Reinstein, who has produced music for a plethora of top-tier K-pop acts like Stray Kids, TWICE and IVE, told The Korea Times in a recent email interview. "My musical style was already compatible with the sounds coming out of Korea and I felt that I finally found my musical home."
스트레이 키즈, 트와이스, 아이브와 같은 국내 정상급 K팝 그룹들의 곡을 제작한 라인슈타인은 최근 코리아타임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몇 년 전) 일본 매니지먼트사와 계약한 후 K팝으로 진출했는데 이러한 변화는 비교적 원활했다"고 전했다. "내 음악 스타일은 이미 한국에서 등장하는 음악과 양립 가능했고 드디어 내 음악의 집을 찾은 느낌이었다."
Reinstein first set foot into the music industry about a decade ago, producing songs for artists in the U.S. and sharing his self-written tracks on YouTube. Soon, he was contacted by a Japanese management company that told him his tunes would work great for the Japanese market. So he inked a deal with the company and later, naturally, came across the music of the neighboring country, Korea.
라인슈타인은 10여년 전 미국 내 가수들을 위한 음악을 작업하고 자작곡을 유튜브에 올리며 음악 시장에 첫 발을 내딛었다. 이후 그의 음악이 일본 음악 시장에서 인기 있을 것이라고 전한 일본 매니지먼트사를 만나게 되었다. 해당 회사와 계약을 한 후 자연스럽게 이웃 나라 한국의 음악을 발견했다.
"I fell in love with the musical freedom K-pop provides," he said. "I love music that makes you feel something. Great chord changes, dope melodies, juxtaposed with hard-hitting production. The K-pop format allows for limitless musical experimentation for me."
라인슈타인은 "K팝이 제공하는 음악적 자유로움과 사랑에 빠졌다"고 전했다. "나는 무언가를 느끼게 하는 음악을 좋아한다. 대단한 코드 변화, 멋진 멜로디와 함께하는 강렬한 프로덕션까지. K팝 형식은 내가 제한 없이 음악적으로 실험할 수 있게 한다."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pop and Western music is that the former gives more freedom to explore jazzy chord changes, the producer explains.
이 프로듀서는 K팝이 재즈 같은 코드 변화를 탐험하는 것에 더 자유롭다는 점이 K팝과 서양 음악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설명한다.
"I am a big fan of the 60s rock, 70s soul, 80s funk and pop," Reinstein said. "Using them as inspirations along with newer production techniques is sort of my formula, which just so happens to work for K-pop."
라인슈타인은 "60년대 락, 70년대 소울, 80년대 펑크와 팝 음악을 매우 좋아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프로덕션 기술과 함께 이들을 영감의 요소로 사용하는 것은 나만의 방식인데 이는 K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After building his career in the K-pop scene for several years, the talented producer decided to form his own team to make a fresh sound in an environment of positivity and forward-thinking musical creativity. This was the reason that he established NuVibe Music in 2019, which comprises of Reinstein, producer DTP and topliners Anna Timgren and Suhyppy. DTP produced music for K-pop groups like BLANK2Y and Rocket Punch. Timgren previously worked with TWICE and IVE, among others, and Suhyppy ― the latest member to join the team ― partnered with FIFTY FIFTY.
몇 년 동안 K팝 시장에서 커리어를 쌓은 이 능력 있는 프로듀서는 긍정성과 전향적인 음악적 창의성의 환경에서 환경에서 신선한 음악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팀을 형성하기로 결심했다. 이것이 2019년 라인슈타인, 프로듀서 DTP, 작곡가 안나 팀그렌(Anna Timgren)과 수히피(Suhyppy)로 이루어진 뉴바이브 뮤직(NuVibe Music)을 만든 이유이다. DTP는 블랭키, 로켓펀치와 같은 K팝 그룹의 곡을 제작했다. 팀그렌은 트와이스, 아이브와 함께 작업했던 한편 팀에 마지막으로 합류한 수히피는 피프티 피프티와 작업했었다.
"I am so proud of all of us," Reinstein said. "We all share a true closeness bonded by a strong desire to create a new, cutting-edge sound for K-pop. Some songs we have done include 'Stay This Way' (2022) by fromis_9, 'My Satisfaction' (2022) by IVE, 'The Feels' (2021) by TWICE, 'Upper Side Dreamin'' (2021) by ENHYPEN and 'Reveal' (2020) by The Boyz."
라인슈타인은 "우리 모두가 정말 자랑스럽다"고 전했다. "우리는 새로우면서도 최신식의 K팝 음악을 만들겠다는 강한 열망으로 묶인 진정한 친밀감을 공유한다. 프로미스나인의 ‘Stay This Way'(2022), 아이브의 ‘My Satisfaction', 엔하이픈의 ‘Upper Side Dreamin', 그리고 더보이즈의 ‘Reveal'은 우리가 함께 작업했다."
For Reinstein, the most memorable song is "Stay This Way" ― a track that he created in collaboration with his good friend Lee Woo-min, who is also known as Collapsedone.
라인슈타인은 ‘Collapsedone'으로 알려진 동료 작곡가 이우민과 함께 작업한 ‘Stay This Way'가 가장 기억에 남는 곡이라고 전했다.
KEY WORDS
■ seamless (중간에 끊어짐이 없이) 아주 매끄러운, 천의무봉의
■ compatible 양립될 수 있는
■ ink 서명하다
■ juxtapose (특히 대조•비교를 위하여) 병치하다[나란히 놓다]
■ comprise ~으로 구성되다[이뤄지다]
■ bond 유대감을[이] 형성하다[되다]
■ memorable 기억할 만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