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scene from Netflix's "Narco-Saints," titled "Suriname" in Korean / Courtesy of Netflix 넷플릭스 ‘나르코-세인츠(한국어로 ‘수리남')의 한 장면 |
Some dramas face backlash in certain countries over disrespectful scenes
일부 한국 드라마, 무례한 장면으로 특정 국가 반발 일으켜
By Kwak Yeon-soo
Korean drama series are going global as they have become available to a wider range of viewers due to streaming platforms that offer subtitles in multiple languages. While enjoying global popularity, the Korean drama production industry now faces the new task of becoming culturally sensitive.
한국 드라마가 다국어 자막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시청자에게 제공되면서 세계화되고 있다.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한국 드라마 제작 산업은 이제 ‘문화적 감수성'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Several dramas have come under fire for containing racist stereotypes and undertones, sparking a backlash from foreign viewers and forcing their governments to take action.
여러 드라마가 인종차별적 고정관념과 은유를 포함해 해외 시청자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관련 정부의 조치를 불러일으키며 비난을 받고 있다.
"Little Women" was removed from Netflix in Vietnam for its depiction of the Vietnam War. Following a written request from the Authority for Broadcasting and Electronic Information in Vietnam, Netflix removed the series from its service in the Southeast Asian country.
‘작은 아씨들'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묘사 때문에 베트남 넷플릭스에서 퇴출당했다. 베트남 방송전자정보국의 서면 요청에 따라 넷플릭스는 해당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
The controversial scenes appeared in episodes three and eight, where a Korean veteran who took part in the Vietnam War explains that the killing ratio for Korean troops was 20 to 1 (meaning one Korean soldier killed 20 Vietnamese). The episodes also included other forms of discriminatory terms directed at Vietnamese soldiers during the war, which many viewers found overtly offensive.
논란이 되는 장면은 3, 8화에서 베트남전에 참전한 한국 참전용사가 한국군의 사살률이 20대 1(한국군 1명이 베트남 병사 20명을 죽였다는 의미)이라고 설명하며 등장했다. 이 회차들에는 전쟁 중 베트남 군인을 향한 다른 형태의 차별적 용어도 포함되어 있어 많은 시청자들이 노골적으로 불쾌감을 느꼈다.
Studio Dragon, the production company of "Little Women," apologized for any "discomfort that a particular scene may have caused" after Vietnamese viewers complained about historical distortions.
'작은 아씨들'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은 베트남 시청자들이 역사적 왜곡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후 "특정 장면이 불러 일으켰을지도 모르는 불편"에 대해 사과했다.
Netflix's "Narco-Saints," titled "Suriname" in Korean, was also hit for portraying the South American country as a drug trafficking hub.
한국말로 '수리남'이라는 제목의 넷플릭스 '나르코-세인츠'도 이 남미 국가를 마약 밀매 중심지로 묘사해 큰 인기를 끌었다.
Albert Ramdin, the Surinamese foreign affairs minister, denounced the series for including a negative depiction of its people and culture, and warned the country will take legal action against the producers of "Narco-Saints."
수리남의 알버트 람딘 외무장관은 이 드라마가 수리남 국민과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를 포함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나르코-세인츠' 제작자에 대한 법적 대응을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Suriname no longer has the image that emerges in the series or no longer participates in these kinds of practices," Ramdin said.
람딘은 "수리남은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이미지를 더 이상 갖고 있지 않거나 이러한 종류의 관행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Netflix said it did not intend to offend the country.
넷플릭스는 수리남을 불쾌하게 할 의도가 없었다고 밝혔다.
"The stories on our service are not intended to be disrespectful or hurt the sentiments of any community or group. However, the members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what's acceptable on-screen and want to make their own decisions about what to watch," a Netflix Korea official said.
넷플릭스 코리아 관계자는 "넷플릭스에 등장하는 이야기는 어떤 공동체나 단체에 무례하거나 감정을 상하게 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화면에서 무엇이 허용되는지에 대해 다른 관점을 갖고 있으며 어떤 콘텐츠를 볼 지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Recent controversies have raised the need for content creators to consider how to deal with culturally sensitive topics.
최근 이러한 논란들은 국내 콘텐츠 제작자가 문화적으로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KEY WORDS
■ backlash (대중의) 반발
■ disrespectful 무례한, 실례되는
■ subtitle 자막
■ come under fire 비난을 받다, 빈축을 사다
■ stereotype 고정관념, 정형화된 생각
■ undertone 숨은 뜻, 함의, 저의
■ discriminatory 차별적인
■ overtly 명시적으로, 공공연하게
■ depict 묘사하다
■ discomfort 불편
■ distort 왜곡하다
■ hub 중심지, 중추
■ denounce 맹렬히 비난하다, 고발하다
■ sentiment 정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