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ack of social safety net, wealth-centered mindset behind unhappiness
불행 이면에는 사회적 안전망 부족과 물질주의적 태도 있어
By Lee Yeon-woo
A 53-year-old woman identified only by her surname Seo, who runs a kindergarten in Gwangju City, becomes overwhelmed by a sense of anxiety whenever she thinks about her future. Seo says the sense of anxiety is shared by most of her friends to some degree.
광주에서 유치원을 운영하는 서 씨(53)는 앞날을 생각할 때마다 불안감에 휩싸인다. 서 씨는 이러한 불안감을 대부분의 친구들이 함께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Most of my friends and I talk about life after retirement when we meet. My generation had no chance to think about saving up for retirement. We were too busy making ends meet through hard economic times, so there is no guarantee that I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my life 10 to 20 years from now," she said.
서 씨는 "친구들을 만나면 주로 은퇴 후의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 세대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계 유지에 급급해 노후 대비에 신경 쓸 여력이 없었다. 따라서 10년에서 20년 후 삶의 질을 향상될 거라는 보장이 없다"고 말했다.
Kim Hyung-joon, a 32-year-old office worker in Seoul, doubts whether his life will get better in the future.
서울에서 근무하는 회사원 김형준(32)씨는 앞으로 자신의 삶이 지금보다 나아질지 확신하지 못한다.
"I doubt whether our future, both at a personal and national level, can get better than the past. I feel tired of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 fluctuating asset prices, inflation and more. I'm often worried whether I would be able to look after my family," said the man who is in his second year of marriage.
결혼 2년차인 김 씨는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미래가 과거보다 나아질지 의심스럽다. 변동하는 자산 가격, 인플레이션 등 현재의 경제 상황에 지쳤다. 앞으로 가족을 잘 부양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전했다.
They are typical examples of many Korean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Despite economic growth touted as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with its gross domestic product (GDP) increasing more than 520 percent to $35,168 in 2021 from just $67 in 1953, Koreans' evaluations of their lives have been negative.
이들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수많은 한국인들의 일부에 불과하다. 1953년 67달러에 불과했던 국내총생산(GDP)이 2021년 3만 5168달러로 520% 이상 성장해 ‘한강의 기적'이라 내세우는 경제 성장을 이뤄냈지만, 한국인들 스스로의 삶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었다.
Koreans' dis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is shown in data.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Quality of Life Indicators report in 2022, the country scored 5.9 out of 10 in terms of average life evaluation. It ranked at 36th among the 38 OECD member countries, followed only by Columbia and Turkey. The OECD average was 6.7.
한국인의 삶에 대한 불만은 통계로 나타난다. 통계청이 펴낸 ‘국민 삶의 질 2022'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매긴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점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6위에 그쳤고, 만족도가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콜롬비아와 튀르키예뿐이었다. OECD 평균은 6.7점이었다.
"Korea is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The society has been losing vigor due to a low birthrate, rapidly-aging population and a high suicide rate," the report noted. It also cited notoriously long working hours, a competitive culture and excessive fervor in education as other social problems.
해당 보고서는 "한국은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낮은 출산율, 급속한 고령화 및 높은 자살률로 인해 한국 사회는 활기를 잃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악명 높은 장시간 근로와 경쟁적인 문화, 과도한 교육열을 그 밖의 사회적 문제로 꼽았다.
KEY WORDS
■ kindergarten 유치원
■ overwhelm 휩싸다[압도하다]
■ make ends meet 겨우 먹고 살 만큼 벌다
■ guarantee 보증, 보장
■ doubt 확신하지 못하다, 의심하다
■ fluctuate 변동을 거듭하다
■ look after 돌보다
■ tout 광고[홍보]하다
■ vigor 활기
■ notorious 악명 높은
■ fervor 열정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