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ourists wear traditional Korean hanbok clothes at central Seoul's Gyeongbok Palace last month. / Yonhap 지난 달 서울 경복궁에서 관광객들이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을 입고 있다. |
By Ellie Goodwin
The expectations and roles of women have seen a global shift thanks to women's rights, education and birth control. What were once longstanding societal norms are now being challenged and an acceptance for different lifestyles that complement the individual has started to emerge.
권리 신장, 교육 및 피임 덕분에 여성의 기대와 역할은 전 세계적으로 변했다. 오랫동안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던 규범이 도전에 직면하기도 하고 개인을 보완하는 다양한 생활 방식에 대한 수용 역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However, this shift is still in its infancy and not without its judgments, with women who openly reject motherhood inviting the most scrutiny.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아직 초기 단계로 논의의 대상이며, 특히 모성애를 공개적으로 거부하는 여성들은 가장 정밀한 감시를 받는다.
"The goalpost expectation still exists for some people: a long-term relationship in your 20s, married by 28, with a house and a child by 30," says Amy Wan, a Chinese citizen currently residing in Daegu.
대구에 거주 중인 중국인 에이미 완은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20대에 장기적 관계를 맺고 28세에 결혼하고 30세에 집과 아이가 있는 ‘골대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These expectations, though not as prevalent, are still apparent and impact both men and women alike. However, language like "bachelor" still evokes a slightly more attractive image than "spinster."
이러한 기대는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총각"과 같은 언어는 여전히 "노처녀"보다 약간 더 매력적인 인상을 불러일으킨다.
"I consciously chose not to be a mother, but people ― my family in particular ― have always assumed that I resigned myself to this because I'm 33 and single. The truth is, I've always wanted to travel. I've never wanted to be a mom," Wan says, while also admitting to having felt like she had "disappointed her family" by not subscribing to their expectations.
완은 "의식적으로 엄마가 되지 않겠다는 선택을 했지만 사람들, 그 중에서도 우리 가족은 33세인데 아직도 미혼이기 때문에 내가 엄마가 되는 것을 체념했다고 생각한다. 사실 항상 여행을 하고 싶었다. 엄마가 되고 싶었던 적은 한 번도 없다"면서도 가족의 기대에 맞춰 살지 못한 자신이 "가족을 실망시켰다"고 느낀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A rejection of motherhood in favor of the hybrid expat-travel lifestyle can lead to unfair judgments about the character of a woman. "I've been told that I'm selfish, that I have a fear of commitment and settling down. I put that down to ignorance and this social default that's been around for so long," says Eleanor Milders, who is currently into her fifth year of traveling and working abroad.
모성애 거부와 혼합형 해외여행 생활 방식의 선호는 여성의 특징에 대한 부당한 판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외를 여행하며 근무한 지 5년 차인 일레노어 마일더스는 "이기적이고 헌신과 정착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는 말을 들어왔다. (이러한 생각들은) 무지와 오랫동안 존재한 사회적 결핍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Insidious social systems which preach the narrative that having a family is primary by nature sideline other lifestyles and breed judgment against them. An individual's self-awareness in knowing that motherhood is not compatible with their personality is something that should be commended.
사회 시스템은 은근히 가정을 꾸리는 것이 본래 다른 삶의 양식보다 우선한다고 설교하고 다른 삶의 방향을 거부하는 판단을 키운다. 개인의 성격과 모성애가 양립 가능하지 않다는 자기 인식은 칭찬받아 마땅하다.
Having a child out of obligation or external pressures rather than choice does harm to both parent and child.
선택이 아닌 의무 및 외부 압력 때문에 아이를 갖는 것은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해가 된다.
"I'm pleased that I'm in my 20s at a time when women are in a position to decide against being a mom if they want to. I just hope that other women remember that rather than taking to heart the opinions of others," says a 28-year-old Korean citizen named Eilisha, who has been firmly opposed to the idea of having children since her teenage years, acknowledging that she has no maternal instinct.
10대 때부터 모성본능이 없다며 아이를 갖는 것을 단호히 반대해 온 한국 국민 에일리샤(28) 씨는 "여자들이 마음만 먹으면 엄마가 되지 않을 수 있는 시대에 20대로 살고 있어 기쁘다. 여성들이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기보다 이러한 점을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KEY WORDS
■ shift 변화
■ complement 보완하다
■ in one's infancy 초기[단계]에
■ scrutiny 정밀 조사
■ prevalent 일반적인
■ evoke 환기시키다
■ subscribe to ~에 응하다, ~를 지지하다
■ put down to ~의 탓으로 돌리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