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n SK Telecom employee works at the company's hub office in Sindorim, southwestern Seoul, April 11. Courtesy of SK Telecom 지난 4월 11일 서울 남서부 신도림에 위치한 회사의 거점 사무실에서 한 SK 텔레콤 직원이 근무 중이다. |
More firms adopt flexible work to enhance employee welfare, work efficiency
상당수 기업들, 근로 복지 및 근무 효율성 향상 위해 유연근무제 도입
By Baek Byung-yeul
Naver, Line Plus, SK Telecom and many other IT companies here are actively introducing hybrid work models, letting their employees choose among a variety of work models, such as working completely remotely, working at hub offices, or working from home a few days a week while coming to the office on the other days, even now, nearly three years after the COVID-19 outbreak, according to company officials, Tuesday.
화요일 기업 관계자들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후 거의 3년이 다 되어가는 지금도 네이버, 라인플러스, SK텔레콤 및 기타 국내 IT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혼합형 근무)를 시험적으로 도입하며 근로자들이 완전 원격 근무, 거점 사무실 근무, 재택과 사무실 혼합 근무 등 다양한 근무 형태 중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In early 2020, the pandemic outbreak first led many companies to introduce work-from-home systems in order to continue operating smoothly while protecting employees from getting infected. But since then, diverse hybrid work systems have taken root in Korea, particularly in IT and large companies, reflecting global trend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2020년 초에 팬데믹 초기 발생의 결과 다수 기업들이 직원의 감염을 예방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회사를 순조롭게 운영하기 위해 재택근무 시스템을 도입했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형태의 혼합형 근무 형태가 한국에 뿌리를 내렸는데, (이러한 추세는) 다른 선진국의 세계적 추세를 반영하는 IT 및 대기업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In particular, IT companies that don't operate manufacturing facilities said they have increasingly adopted a variety of work models because they have found that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ir workplace operations enhances both the welfare of their employees,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특히 제작 설비를 운영하지 않는 IT 기업들은 근무지 유연성 증가가 직원 복지와 근무 효율성, 직업 만족도를 모두 향상시킨다는 점을 깨닫고 점차 다양한 근무 형태를 도입했다.
In line with this trend, the newly coined word, "workcation," a portmanteau of "work" and "vacation," has appeared here. Many companies are introducing workcation systems that enable their employees to work remotely from local tourist destinations to overseas vacation spots.
이러한 추세에 따라 새로 지어진 "일(work)"과 "휴가(vacation)"의 혼성어인 "워케이션(workation)"이라는 용어가 국내에 등장했다. 다수 기업은 직원이 국내 관광지나 해외 여행지에서 원격근무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워케이션 제도를 도입 중이다.
"Since July, we have been operating the Connected Work system, allowing employees to choose either to work remotely for five days a week or come to the office three days while working remotely for two days," a Naver spokeswoman said.
한 네이버 대변인은 "7월부터 네이버는 ‘커넥트 워크' 제도를 운영해 직원들이 주5간 재택 근무 혹은 주3일 출근, 주2일 재택 중 선택하도록 허용했다"고 말했다.
The official from Korea's top big tech company said that Naver also runs a workcation system, in which its employees can work at its training institute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for a week.
이 한국 최고 테크대기업의 대변인은 네이버는 또 워케이션 제도를 운영하며 직원들이 일주일간 강원도 춘천의 연수원에서 일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The Chuncheon training institute provides one room for each employee. During the workcation period, they can work remotely while enjoying travel in the Gangwon Province area during their free time," the spokeswoman said, adding that its employees will soon be able to take workcations at its Tokyo office.
이 대변인은 "춘천 연수원은 각 직원에게 1인실을 제공한다. 워케이션 기간 동안 직원들은 자유시간에 강원도를 여행하면서 원격 근무를 할 수 있다"며 곧 직원들이 일본 도쿄 사무실에서도 워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Lee Min-chul, an employee at SK Telecom, said he works at a company hub office in Sindorim, southwestern Seoul, near his home once a week, rather than commuting all the way to downtown Seoul where the company's headquarters is located.
SK 텔레콤에서 근무하는 이민철 씨는 일주일에 하루는 본사가 위치한 서울 중심지로 통근하기보다 집과 가까운 서울 남서쪽 신도림의 거점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It is closer than going to downtown Seoul. The hub office provides a personal workspace so that I can focus more on my job than when working from home or in a coffee shop," Lee said.
이 씨는 "서울 시내로 가는 것보다 가깝다. 거점 사무실은 개인 작업 공간을 제공해서 집이나 카페에서 일하는 것보다 일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KEY WORDS
■ adopt 채택하다
■ enhance 향상시키다
■ outbreak 발생
■ take root in ~에 뿌리내리다
■ reflect 반영하다
■ coin (새로운 낱말, 어휘를) 만들다
■ portmanteau 혼성어
■ commute 통근하다
■ downtown 시내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