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 should do its part in resolving global crisis
세계적 위기 해결을 위해 우리의 역할해야
Korea has grown into one of the world's top 10 economies and is occasionally invited to G7 meetings.
한국은 세계 10대 경제국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경우에 따라 G7 회의에도 초청된다.
However, the nation seems intent to remain a developing country in some areas of common concern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specially so when short-term national interests are concerned.
그러나 한국은 국제 사회의 공통 관심사인 일부 분야에서 개발도상국으로 남을 계획인 것처럼 보인다. 특히 단기적인 국익이 관련된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A case in point is its foot-dragging in efforts to tackle the climate crisis.
기후 위기에 대응하려는 노력의 지체가 대표적 사례다.
On Tuesday, a blue-ribbon panel announced the government's basic plan to reduce carbon emissions and seek green growth. To sum up, the plan, the first action program of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calls for lowering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for the industrial sector.
화요일 가장 우수한 패널은 정부의 탄소 배출 감소와 녹색 성장을 위한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요약하면 윤석열 정부의 첫 실천 방안인 이 계획은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감소를 촉구하는 내용이다.
More specifically, it will require the industrial sector to cut its emission by 11.4 percent from the 2018 level by 2030. That is a sharp setback from the previous reduction target of 14.5 percent. To maintain the total emissions goal of 40 percent, it instead seeks to carry out afforestation projects overseas and invest in carbon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y.
더 구체적으로 정부는 산업부문에 2018년 대비 2030년 온실가스를 11.4%로 줄일 것을 요구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감축 목표인 14.5%에서 크게 후퇴한 목표치다. 대신 총 배출량 목표 40% 유지를 위해 해외 숲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고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에 투자할 계획이다.
This runs squarely counter to carbon neutrality drives by easing burdens on the industrial sector, the main culprit of the climate crisis. The sector, including steel and petrochemical companies, accounts for 36 percent of the nation's greenhouse gas emissions. When electricity use is included, the share rises to 54 percent. Corporate Korea emits more than half of the total greenhouse gases, but its reduction target is slightly more than a quarter.
이는 기후 위기의 주범인 산업계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탄소중립 방향성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철강 및 석유화학 기업들을 포함한 산업계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36%를 차지한다. 전기 사용을 포함하면 그 비율은 54%로 증가한다. 산업계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이들의 감축 목표는 4분의 1을 약간 넘는다.
The presidential commission cited difficulties in raw material supply and technology prospects as a reason for the downward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previously ambitious goal knelt before the high wall of reality — once again. Business lobbies have complained about the "unrealistically high" reduction target and realized their dreams under the most pro-business administration in decades. The government will instead raise nuclear power generation, but it is no more than a stopgap measure.
대통령 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는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과 기술 전망을 이러한 하향 조정의 이유로 꼽았다. 즉, 이전의 야심찬 목표가 다시금 현실의 높은 벽 앞에서 좌절된 것이다. 기업 로비 단체들은 "비현실적으로 높은" 감축 목표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고 수십 년 만에 가장 친기업적인 현 정부 하에서 자신들의 꿈을 실현했다. 정부는 대안으로 원전 발전을 늘리겠지만 이는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
The plan presented a yearly reduction target for the first time. However, it is also problematic, passing most of the burden to the succeeding governments. For instance, it calls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by about 50 million tons in 2023-27, another 50 million tons in 2028-29 and 100 million tons in 2030 alone. That is, the incumbent government will cut emissions by 2 percent on an annual average and drastically reduce it under the next administration. The plan is infeasible and irresponsible, postponing 75 percent of total emission cuts until after its term.
이번 계획은 처음으로 연간 감축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담을 차기 정부에 떠넘긴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2023-27년에 약 5천만 톤, 2028-29년에 5천만 톤, 2030년에만 1억 톤의 탄소 배출량 감소를 요구한다. 즉, 현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연 평균 2%씩 줄이다가 차기 정부에서 대폭 줄일 계획이다. 이 계획은 실행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책임하며 총 배출량 감축 목표의 75%를 현 정부 임기 이후로 연기하고 있다.
Conscious of criticism about Korea's lukewarm shift to renewable energy, the plan reluctantly raised the reduction target in the sector slightly, from 44.4 percent to 45.9 percent. However, it falls far short of expectations. Most industrial countries are now shifting very rapidly to renewables. This is not only because it helps to prevent climatic aggravation but is economically profitable thank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esulting cost cuts. That means it can be a new growth engine, too. By lagging in this critical shift, Korea will lose "three rabbits" — climate action, economic windfall and energy security.
정부의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미온적이라는 비판을 의식해 해당 계획은 마지못해 해당 부문의 감축 목표를 44.4%에서 45.9%로 약간 높였다. 그러나 이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부분의 산업 국가는 현재 매우 빠르게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이 기후악화 예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술혁신과 이에 따른 비용절감으로 경제적 이익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다. 이 중대한 변화에서 뒤처짐으로써 한국은 기후 실천, 경제적 소득, 에너지 안정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잃게 될 것이다.
3월 23일 (목)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foot-dragging 지체
■ blue-ribbon 가장 뛰어난
■ setback 차질
■ squarely 정확하게
■ stopgap 임시방편
■ infeasible 실행 불가능한
■ aggravation 악화
■ windfall 우발적인 소득, 뜻밖의 횡재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