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man looks at job postings at a job fair held in Suwon, Gyeonggi Province, in this 2019 file photo. Newsis 2019년에 촬영된 사진에서 한 남자가 경기도 수원에서 열린 직업 박람회 구직 게시판을 들여다 보고 있다. 뉴시스 |
By Lee Yeon-woo
Almost half a million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15 and 29 were economically inactive without searching for or preparing to get a job last month, data showed. The number of young people taking time off has been increasing each year as more give up looking for work.
자료에 따르면 15~29세 청년층 거의 50만 명이 지난달 구직 활동을 하거나 준비하지 않고 경제적 비활동 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쉬는' 청년들이 해마다 늘고 있다.
According to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some 497,000 young people reported in February that they are taking time off. That is the highest figure for any month the statistics agency has recorded in the 20 years since 2003 it has been compiling the data.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에 따르면 2월에 청년층 약 49만7000명이 경제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보고했다. 이는 통계청이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하고 2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The figure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from 386,000 in 2019 to 438,000 in 2020, 449,000 in 2021 and 453,000 in 2022. The current figure has already increased by another 45,000, marking a 9.9 percent jump from last year.
해당 수치는 2019년 38만6000명에서 2020년 43만8000명, 2021년 44만9000명, 지난해 45만3000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현재 수치는 1년 전과 비교해 4만5000명(9.9%)가 증가했다.
People who just took time off are included in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which is defined as those aged over 15 who are neither employed nor unemploye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unemployed ― those who have actively sought employment for the past four weeks but were unable to find a job.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에는 막 쉬기 시작한 사람들도 포함된다. 이들은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했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실업자와는 다르다.
This economically inactive group is divided further into subcategories, such as those who are engaged in child-rearing, housework and education or those who could not work due to old age,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for other reasons. Taking time off falls under the category of "other reasons."
비경제활동인구는 활동 상태별로 육아나 가사, 교육 종사자, 연로, 심신장애, 기타 등으로 세분화된다. ‘쉬었음'은 이 중 "기타 이유"에 속하는 경우다.
The statistics agency sometimes looks deeper into this category of "other reasons," surveying why those people took time off. In data released last August, 39.4 percent of respondents cited poor health as the reason for their inactivity, while 18.1 percent said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jobs they wanted.
통계청은 종종 "기타 이유" 범주를 더 깊이 조사해 사람들이 쉰 이유를 조사한다. 지난해 8월 발표된 자료에서 응답자의 39.4%는 몸이 좋지 않아서라고 답했고, 18.1%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고 답했다.
KEY WORDS
■ inactive 활동하지 않는
■ search for ~를 찾다
■ take time off 휴가를 내다
■ compile 엮다, 편집[편찬]하다
■ continuously 연달아
■ mark (중요 사건을) 기념하다
■ seek 찾다
■ subcategory 하위 범주
■ be engaged in ~에 종사하고 있다
■ survey 살피다, 점검하다
■ cite (이유·예를) 들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