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oreign Minister Park Jin speaks during a briefing on an agreement with Japan over compensating forced labor victims at the ministry building in Seoul, Monday. Korea Times photo by Shim Hyun-chul 박진 외교부 장관이 월요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국내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에 대한 일본과의 합의와 관련하여 기자 회견에서 발표하고 있다. 코리아타임스 심현철 사진기자 |
Tokyo says settlement will help 'restore healthy ties' with Seoul
일본, 이번 해법이 한국과 "건전한 관계 회복" 도울 것
By Lee Hyo-jin
The government on Monday announced an agreement with Japan to compensate victims of forced labor during World War II through a fund created by Korean companies, without the direct involvement of responsible Japanese firms.
정부는 월요일 일본 기업의 직접적 관여 없이 한국 기업들이 조성한 기금으로 2차 세계대전 당시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기로 일본과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But the resolution immediately provoked a fierce backlash from wartime victims and their families, who described the proposal as Seoul's "total defeat" to Tokyo following a diplomatic fracas between the two sides that dragged on for nearly five years. The Japanes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welcomed the announcement, hoping that the deal will help restore healthy bilateral relations.
그러나 이번 해법은 즉각 강제동원 피해자 및 가족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 일으켰고, 이들은 거의 5년 가까이 끌어온 한일 외교 마찰의 결과인 이번 해법을 일본에 대한 한국의 "완전한 패배"라고 표현했다. 반면 일본 정부는 이번 결정이 양국의 "건전한 관계 회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이번 발표를 환영했다.
During a briefing, Foreign Minister Park Jin unveiled the resolution on compensating 15 Korean victims of forced labor who won three separate lawsuits against two Japanese firms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and Nippon Steel ― in 2018. The Supreme Court here ordered the firms to compensate the plaintiffs who were forced to labor for Imperial Japan during its 1910-45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옛 신일철주금)을 상대로 2018년 3건의 소송에서 승소한 한국인 강제징용 피해자 15명에게 배상금을 변제한다는 결의안을 공개했다. 대법원은 해당 기업들이 1910년~1945년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 강제징용된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불하라고 판결했다.
But both firms refused to comply with the ruling, leading to a diplomatic feud between the two nations which further impeded trade and military cooperation.
하지만 두 기업은 판결을 인정하지 않았고, 이는 양국 간의 외교적 불화로 이어져 수출과 안보 협력을 방해했다.
Under the resolution, the Korean government will compensate the victims through a public foundation created in 2014 under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Other plaintiffs, whose cases are pending in court, will also be eligible for the compensation once they win.
이번 해법에 따라 정부는 행정안전부 산하 2014년 설립된 공공재단을 통해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현재 계류 중인 관련 소송의 원고 승소 확정시 역시 판결금을 받을 수 있다.
The necessary funds will be raised by local companies including POSCO that benefitted from a 1965 Korea-Japan treaty, under which Tokyo offered a package of $300 million (388 billion won) in economic aid and $500 million in loans in compensation for the colonial occupation.
재원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따라 일본 정부가 3억 달러(3880억 원)의 경제 원조와 5억 달러의 식민 지배 배상금 차관을 제공한 포스코 등 국내 기업들이 조성할 전망이다.
The authorities explained that the settlement was based on in-depth discussions with 13 out of 15 victims, or their families, who were affected by the 2018 ruling.
정부는 이번 합의가 2018년 승소한 확정판결 원고 15명 중 13명 및 이들 가족과 심도 있는 논의를 바탕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KEY WORDS
■ compensate 보상금을 주다
■ provoke (특정한 반응을) 유발하다
■ backlash (사회 변화 등에 대한 대중의) 반발
■ fracas 싸움[언쟁]
■ drag on (너무 오랫동안) 질질 끌다, 계속되다
■ bilateral 쌍방의
■ unveil (새로운 계획 등을) 발표하다
■ plaintiff 원고, 고소인
■ comply with ~을 지키다, 준수하다
■ feud (오랜 동안의) 불화[반목]
■ pending 계류 중인
■ be eligible for 자격이 있다
■ benefit from ~로부터 이익을 얻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