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eople walk past a giant rabbit displayed in Gwanghwamun Plaza in downtown Seoul, on the first workday of the new year, Monday. Yonhap 새해 첫 출근일인 월요일 사람들이 서울 광화문 광장에 전시된 거대한 토끼를 지나치고 있다. |
By Lee Yeon-woo
The year 2022 will soon disappear into history. In the New Year, the nation will face a lot of changes. The new changes, albeit subtle and gradual, are being introduced to help the nation adapt to the ever-changing needs of the public.
2022년은 곧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2023년 새해에 한국은 많은 변화에 직면할 것이다. 변화하는 국민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국가가 되기 위해 미세하고 점진적인 변화들이 도입되고 있다.
Among others, the clock is ticking for the closure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President Yoon Suk-yeol's push to shut down the ministry can eventually win over the main opposition party.
무엇보다도 여성가족부 폐지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 추진이 결국 야댱의 반대를 이길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
Koreans will get younger as the new age counting scheme was introduced. And there are other changes that will make 2023 a milestone.
새로운 나이 계산 제도가 도입되면서 한국인들은 더 어려질 예정이다. 2023년을 중요한 해로 만드는 다른 변화들도 있다.
Goodbye 2022, and welcome 2023! Here are the things that are set to change from next year.
2022년 가고, 2023년 와라! 2023년부터 달라지는 것들을 아래에 정리했다.
Koreans become younger
어려지는 한국인
Koreans will get one to two years younger from June, as bills to revise the current age counting system were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this month.
현행 나이 계산법을 개정하는 법안이 이달 국회에서 통과되면서 한국인들은 6월부터 1~2살 어려질 것이다.
So far, a newborn baby is counted as one year old, and everyone gets a year older on New Year's Day, regardless of their date of birth.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age system, the government said unnecessary confusion about Koreans' ages will disappear.
지금까지 갓난아기는 한 살로 계산되고 태어난 날짜와 관계 없이 모든 사람이 새해 첫날에 한 살을 더 먹었다. 그러나 새로운 연령제 도입으로 나이에 대한 불필요한 혼란이 사라질 것이라고 정부는 말했다.
Subsidies for newborn babies
신생아 보조금
Starting Jan. 1, parents with infants who are younger than 12 months will receive a monthly subsidy of 700,000 won ($555), and with infants younger than 24 months 350,000 won ($277). The new childcare subsidy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nation's efforts to stop the falling birthrate.
1월 1일부터 12개월 미만의 유아를 가진 부모들은 매달 70만원(555달러)의 보조금을, 24개월 미만 유아의 경우 35만원(277달러)의 보조금을 받는다. 새로운 육아 보조금은 저출산을 막기 위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
Fate of gender ministry dangling
불확실한 여성가족부의 존폐
President Yoon Suk-yeol's campaign pledge to abolish the gender ministry has generated heated debate.
윤석열 대통령의 선거 공약이었던 여성부 폐지가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His controversial pledge, however, has been in limbo due to opposition from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which controls the National Assembly.
그러나 논쟁거리인 해당 공약은 국회를 장악하고 있는 야당인 민주당의 반대로 정체 상태에 머물러있다.
A shakeup of Cabinet ministries needs approval from the National Assembly.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Yoon's plan will get the green light from lawmakers in the new year.
내각 개편에는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새해에는 국회의원들이 윤 대통령의 계획을 승인할지 지켜봐야 한다.
In October, the government unveiled a plan to abolish the gender ministry and transfer its functions to other ministries.
지난 10월, 윤 정부는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고 해당 부처의 기능을 다른 부처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nister Kim Hyun-sook called for an end to her ministry. In a New Year speech, Kim called for the creation of a new ministry encompassing all related areas of birthrates, childcare and employment to achieve a true meaning of gender equality.
한편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부처의 중단을 요구했다. 김 장관은 신년사에서 출산율, 육아, 고용 등 관련 분야를 모두 아우르는 새 부처를 만들어 양성평등의 진정한 의미를 실현할 것을 요구했다.
She noted that the current gender ministry should be merged into the welfare ministry with the introduction of a department handling population and gender equality.
김 장관은 인구와 양성평등을 다루는 부서의 도입과 더불어 지금의 여성가족부가 보건복지부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Minimum wage
최저 임금
The minimum hourly wage for 2023 will be increased to 9,620 won ($7.63), a 5 percent increase from 2022. The wage will be applied to all industries across the country.
2023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2022년보다 5% 인상되어 9,620원(7.63달러)이 된다. 인상된 최저임금은 전국 모든 산업에 적용된다.
Public transportation fare hike
대중교통 이용요금 인상
The basic taxi fare in Seoul will rise from 3,800 won ($3.10) to 4,800 won in February. The taxi fare increase was introduced to ease the shortage of cabs.
서울 택시 기본요금이 2월부터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인상된다. 요금 인상은 운전기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also considering raising subway and bus fares both by 300 won.
더불어 서울특별시는 지하철과 버스 요금 300원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
In 2022, the adult fare in Seoul was 1,250 won for the subway, and 1,200 won for a bus ride.
2022년 서울의 성인 요금은 지하철이 1,250원, 버스가 1,200원이다.
Better treatment of asylum-seekers
망명 신청자에 대한 처우 개선
The Ministry of Justice will improve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at government detention facilities for foreign nationals. The new measure comes as the country was criticized for the inhumane treatment of a detained Moroccan asylum-seeker.
법무부는 외국인을 위한 정부 수용시설의 법적, 행정적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구금된 모로코 망명 신청자에 대한 비인간적인 대우로 비난을 받은 이후 이번 조치가 새롭게 취해졌다.
Starting March 6, each facility will be monitored by human rights officials, and tools to control defiant behavior will be codified more specifically.
올해 3월 6일부터 인권 관계자들이 각 시설을 감시하며, 반항적 행동을 통제할 방법들이 더 구체적으로 성문화될 예정이다.
KEY WORDS
■ albeit 비록 ~일지라도
■ subtle 미묘한
■ ever-changing 변화무쌍한
■ closure 폐쇄, 종료
■ milestone 중요한 단계
■ bill 고지서, 법안
■ revise 개정하다
■ the National Assembly 국회
■ subsidy 보조금
■ newborn baby 신생아
■ infant 유아
■ dangle 매달리다
■ pledge 약속
■ abolish 폐지하다
■ in limbo 불확실한 상태로
■ shakeup 대개혁
■ cabinet (정부의) 내각
■ lawmaker 의원
■ unveil 드러내다, 발표하다
■ call for ~을 요구하다
■ encompass 아우르다, 에워싸다
■ note ~에 주목하다, 언급하다
■ merge 합병하다
■ handle 다루다
■ fare 요금
번역 홍정민 snfl4936@naver.com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