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altering exports, private spending expected to further weigh on Korean economy
불안정한 수출 및 민간소비, 한국 경제 압박할 것으로 예상
By Yi Whan-woo
Korea could face a mild recession in 2023, as exports and private spending ― the twin engines of the nation's economy ― are forecast to falter at the same time amid a global economic slowdown caused by high inflation and supply chain disruptions, according to multiple analysts.
높은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혼란이 세계 경기 침체를 초래한 가운데 국가 경제 동력인 수출과 민간소비가 모두 불안정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2023년 한국이 가벼운 경기침체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A recession is technically defined as a contraction in gross domestic product (GDP) for two or more consecutive quarters. But even when GDP growth displays a sharp slowdown, the economy is considered as being in a state of recession.
경기 침체는 간단히 연속 2분기 이상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감소로 정의된다. 하지만 GDP 증가에 급속한 감소세가 나타날 때도 경제가 침체기에 있다고 여겨진다.
The projection comes amid the dominant outlook that Asia's fourth-largest economy will display rare low growth in the 1-percent range in 2023, compared to estimated growth in the 2-percent range in 2022.
이번 전망은 아시아 4번째 경제 규모의 한국이 2022년 예상 성장률 2%에서 2023년에는 1%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우세한 전망 속에서 나왔다.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forecasts Korea's 2023 GDP growth at 1.6 percent, compared to the Bank of Korea's projection of 1.7 percent. The OECD estimates Korea's economy to grow 1.8 percent in 2023, while the IMF forecasts 2 percent growth and the S&P 1.4 percent.
2023년 한국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한국은행이 1.7%로 제시한 반면 기획재정부는 1.6%로 예상했다.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8%, 국제통화기금(IMF)은 2%, S&P는 1.4%로 예상했다.
Korea achieved 1-percent-range growth or lower during only four past crises: 1980 in the aftermath of the second oil crisis, 1998 in the midst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2009 in the mids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in 2020 due to the COVID-19 pandemic.
한국 경제가 1%대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1980년 제2차 석유파동, 1998년 아시아 금융 공황,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등 네 번의 위기를 제외하고는 처음이다.
"While a recession is not our base case for Korea, we cannot rule it out," S&P's Asia-Pacific Chief Economist Louis Kuijs said in an email interview.
루이스 쿠이스 S&P 수석 아시아태평양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메일 인터뷰에서 "경기 침체가 한국의 기초 사례는 아니지만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He noted the highest risk of a possible recession stems from the U.S. Federal Reserve's need "to raise its policy interest rate more than what is currently envisaged to rein in the high core inflation amid very low unemployment."
쿠이스는 경기침체가 올 경우 가장 큰 위험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매우 낮은 실업률 속에서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현재 예상보다 더 높게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할 경우 나타날 것이라고 전했다.
He forecast the Fed's policy rate to peak at over 5 percent in the third quarter of 2023.
쿠이스는 미 연준의 정책 금리가 2023년 3분기에 5% 이상으로 뛸 것이라고 내다봤다.
"That will impose more pain on the U.S. as well as the global economy including Korea," Kuijs said.
쿠이스는 "(연준의 금리 인상은) 미국은 물론 한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에 더 큰 고통을 안겨줄 것"이라고 말했다.
On the domestic side, he viewed that a high benchmark interest rate in Korea will force "households and firms to 'tighten their belts' more than we currently expect, cutting their spending."
국내 관점에서 쿠이스는 한국의 높은 기준금리는 "가계와 기업이 현재 우리의 예상보다 더욱 '긴축 재정을 펼쳐' 지출을 줄이도록" 강제할 것이라고 보았다.
KEY WORDS
■ weigh on (무거운 짐이 되어) 압박하다, 괴롭히다
■ mild 가벼운, 약한
■ falter 불안정해지다, 흔들리다
■ contraction 축소
■ slowdown (속도·활동의) 둔화
■ projection 예상, 추정
■ dominant 우세한, 지배적인
■ in the aftermath of ~의 여파로
■ envisage (미래의 일을) 예상[상상]하다
■ rein in ~을 억제하다
■ impose on 부과하다
■ tighten one's belt 어려움을 참고 견디다, 검약하다
■ benchmark 기준(점)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