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eople watch a TV news report on North Korean drones that intruded into South Korea's airspace on Monday, at Seoul Station. Yonhap 26일 서울역 대합소에서 시민들이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과 관련된 TV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
South Korean military says 1 UAV reached Seoul
무인기 중 1대는 서울 상공까지 남하
By Nam Hyun-woo
North Korean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respassed into South Korea's airspace on Monday, but the South's military failed to shoot down one of them that reached Seoul, the Joint Chiefs of Staff (JCS) said.
26일 합동참모본부는 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해 남하했지만 군은 서울까지 내려온 무인기 1대 격추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According to the JCS, the military detected multiple "unidentified objects," presumed to be UAVs, in the airspace above Gyeonggi Province from 10:25 a.m.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군은 경기도 상공에서 오전 10시25분쯤부터 무인기로 추정되는 여러 대의 "미확인 물체"를 발견했다.
The JCS later said five UAVs flew acros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separating the two Koreas. One of them reached the northern part of Seoul and four others flew near Ganghwa Island on the West Sea. Reportedly, the military assumes that the four UAVs flew over Ganghwa Island in order to distract the South.
합동참모본부는 남북한을 가르는 군사분계선(MDL)을 횡단 비행했다고 전했다. 이 중 1대는 서울 북부까지 침투했고 나머지 4대는 서해의 강화도와 가깝게 날았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군은 무인기 4대는 남측의 집중력을 분산시키는 교란용으로 강화도 상공을 비행했다고 보고 있다.
The UAV reached the northern part of Seoul and flew across the MDL again to return to the North, a JCS official said. The others disappeared from South Korean radars.
합동참모본부 관계자에 따르면 무인기는 서울 북부 지역까지 내려왔고 북쪽으로 돌아가기 위해 군사분계선을 다시 넘었다. 나머지 4대는 우리 레이더에서 소실됐다.
The military said the UAV that reached Seoul was a glider type with a wingspan of approximately 2 meters.
군은 서울로 내려온 무인기 1대는 날개 길이 약 2m의 글라이더형이었다고 전했다.
The South Korean military sent fighters, attack helicopters and other warplanes to shoot down the UAV, but failed.
군은 해당 무인기 격추를 위해 전투기, 공격헬기 및 다른 군용기들을 보냈으나 실패했다.
"Our aircraft went close to the UAV and obtained a visual identification," the JCS official said, without specifying which UAV he was referring to. "However, we could not shoot it down because of possible collateral damage as it was flying over a civilian area."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특정 무인기를 특정화하지 않고 "남측 항공기는 무인기에 근접해 육안으로 식별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민간 지역 상공을 비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수적 피해의 가능성이 있어 무인기를 격추시킬 주 없었다."
Instead, the JCS said a helicopter fired around 100 20-millimeter rounds to destroy the UAVs near Gyodong Island in the West Sea, which is uninhabited. But it was reported that the helicopter was not aiming at a specific target, and fired in the direction where they were presumed to be flying.
대신 합참은 사람이 살지 않는 교동도 서쪽 해안에서 무인기를 격추하기 위해 헬기의 20mm 포로 100여 발 사격을 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헬기는 특정 목표물을 조준한 것이 아니라 비행 중으로 추정되는 방향으로 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The military also deployed a KA-1 light attack aircraft to assist in the operation to intercept the UAV that reached Seoul. But the plane crashed in Hoengseong County at 11:39 a.m. due to an unknown reason. The two pilots aboard the KA-1 escaped safely.
군은 또한 서울에 도달한 북한 무인기 방해 작전 지원을 위해 KA-1 경공격기를 투입했다. 그러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오전 11시39분쯤 강원도 횡성에서 해당 공격기가 추락했다. KA-1에 탑승 중이던 조종사 2명은 안전하게 비상 탈출했다.
The military also said it deployed manned and unmanned reconnaissance assets near the MDL as part of its countermeasure.
군은 또 대책의 일환으로 군사분계선 인근 지역에 유·무인 정찰대를 배치했다고 밝혔다.
Due to the UAVs' flight, civilian flights at Gimpo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were suspended for 44 minutes.
무인기 침범으로 인해 김포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의 민간 항공기 이륙이 44분동안 중단되었다.
This is the first time since June 9, 2017 that North Korean UAVs flew across the inter-Korean border.
북한 무인기의 남측 영공 침범은 2017년 6월 9일 이후로 처음 있는 일이다.
KEY WORDS
■ unmanned (기계·차량 등이) 무인의
■ trespass 무단 침입하다
■ detect 발견하다, 감지하다
■ wingspan 날개 길이
■ fighter 전투기
■ obtain 얻다, 구하다
■ visual identification 육안 식별
■ collateral damage 부수적 피해 ((군사 행동으로 인한 민간인의 인적·물적 피해))
■ uninhabited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의
■ deploy (군대·무기를) 배치하다
■ reconnaissance (군사적인 목적의) 정찰
■ countermeasure 대책, 보호 조치
■ civilian 민간인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