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hipping containers are stacked at a pier in the nation's southeastern port city of Busan, Wednesday. Yonhap 수요일 부산 남동쪽에 위치한 항구 도시에 위치한 항구에 선적 컨테이너가 쌓여있다. |
Recovery of consumption, Chinese economy picked as key factors
소비 회복 및 중국 경제, 핵심 요인으로 꼽혀
By Lee Min-hyung
The Korean economy is losing steam fast, with its twin engines ― exports and domestic demand ― falling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plunging exports and the widening trade deficit are boding ill for the Korean economy, various data showed Thursday.
수출 및 내수가 동시에 하락하면서 한국 경제가 급속도로 활력을 잃고 있다. 특히 수요일 여러 통계들이 보여주듯 수출 급락 및 무역수지 적자 확대는 국내 경제에 좋지 않은 징조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exports in November reached $51.91 billion (67.5 trillion won), down 14 percent from a year earlier.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1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4% 하락한 67조 5천억 원(519억 1000만 달러)을 기록했다.
Exports had been on the gradual rise for 23 months since November 2020, but dropped by 5.7 percent for the first time in September and ended up widening their losing streak last month.
수출액은 2020년 11월부터 23개월 동안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나 9월 최초로 5.7% 하락해 지난 달 연속으로 하락하며 하락폭을 확대했다.
The accumulated exports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however, rose by 7.8 percent, and came in at $629.1 billion. This instance marks the first time that the figure for the first 11 months combined topped $600 billion.
다만 1~11월 누계 기준 수출 실적은 7.8% 증가해 6291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사상 최초로 11월에 누계 수출액이 6000억 달러를 돌파했음을 나타낸다.
Despite the sluggish exports, imports increased by 2.7 percent on growing energy costs, according to the ministry.
산업부에 따르면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비용 증가로 인해 수입액은 2.7% 증가했다.
The nation's trade balance also reported a deficit of $7.11 billion last month. It has been in a deficit for eight consecutive months, which is the longest monthly trade deficit in 25 years since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또 지난 달 국내 무역수지는 71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8개월 연속 적자임을 의미하는 한편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25년 만에 가장 긴 적자 기간이 지속되고 있다는 뜻이다.
The accumulated trade deficit for the first 11 months combined here soared to $42.56 billion. The ministry shared a murky outlook on exports for December.
11개월 동안 국내 누적 적자는 425.6억 달러로 급등했다. 산업부는 12월 수출액 전망도 어둡다고 전했다.
"The falling exports in November are attributable to declining demand for key export items ― such as semiconductors, petrochemical and steel products," Industry Minister Lee Chang-yang said.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1월 수출액 감소는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과 같은 주요 수출 품목의 수요가 감소한 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Other data also showed that the Korean economy will face a tough time for the time being.
또 다른 통계 자료도 당분간 한국 경제가 어려운 시기를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The Bank of Korea (BOK) said Thursday that the economy grew 0.3 percent during the third quarter from a quarter earlier, though the rise in private consumption and chip equipment investments offset the dwindling export performance here.
목요일 한국은행은 부진한 수출 성과를 민간 소비와 반도체 설비 투자 증가가 상쇄하며 3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3% 증가했다고 전했다.
The BOK expected Korea to attain its annual GDP growth target of 2.6 percent despite possible contraction in the fourth quarter.
한은은 4분기 부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GDP 성장률 전망치인 2.6%는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Finance Minister Choo Kyung-ho also said that the economy is standing at a critical juncture amid growing woes over a possible recession.
또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경기 침체 가능성을 두고 우려가 증가하는 가운데 한국 경제가 중대한 시점에 놓여있다고 밝혔다.
"Production and exports are declining and fears of recession are showing signs of escalating here," Choo said Thursday during a meeting with leaders of the nation'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목요일 국내 중소기업인 간담회에서 추 부총리는 "생산과 수출이 감소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KEY WORDS
■ bode well[ill] for[to] ~에게 길조[흉조]이다
■ trade deficit 무역수지 적자
■ gradual 점진적인, 서서히 일어나는
■ accumulate 모으다, 축적하다
■ sluggish 느릿느릿 움직이는, 부진한
■ murky (연기•안개 등으로 불쾌하게) 어두컴컴한, 흐린
■ outlook (앞날에 대한) 전망
■ attributable ~가 원인인, ~에 기인하는
■ dwindle (점점) 줄어들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