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avid Kim campaigns in the street with campaign volunteers for the 2020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elections. Courtesy of David Kim 데이비드 김이 202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를 위해 거리에서 캠페인 자원 봉사자들과 함께 선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
By Lee Yeon-woo
Growing up in California as the son of Korean American immigrants, David Kim is all too familiar with the vicious circle of poverty.
한국계 미국인 이민자의 아들로 캘리포니아에서 자란 데이비드 김은 가난의 악순환에 매우 익숙하다.
With the Hispanic population taking the lion's share of 65 percent of its voters, California's 34th Congressional District is one of the poorest electoral districts in the United States. It is home to the largest homeless population in California.
히스패닉이 선거 인원의 65%로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캘리포니아의 34 지구는 미국에서 가장 빈곤한 선거 지역이다. 이는 캘리포니아 내 가장 큰 노숙자 집단이 거주하는 곳이기도 하다.
Although America's largest Koreatown is located in the district, there has been no politician of Korean descent elected there. Those with Korean heritage account for only 10 percent or so of the eligible voters and the total ratio of Asians is below 20 percent.
미국 내 최대 한인타운이 이 지역에 있으나 한국계 정치인이 당선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한국계 인구는 유권자의 10% 정도에 불과하고 아시아인의 총비율은 20% 미만이다.
Juggling two to three jobs, many residents in the CA-34 district work seven days a week without proper rest to make ends meet so they can feed and send their children to school. They have little time to read newspapers or watch TV to catch up on what direction America is heading.
캘리포니아 34 지구 거주민 다수는 자녀들을 먹여 살리고 학교에 보내기 위해 제대로 된 휴식 없이 두세 개 일을 일주일 내내 하면서 겨우 살아가고 있다. 이들은 뉴스를 보거나 TV를 시청하며 미국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알아갈 시간도 없다.
With limited information on political news, immigrant voters turn out at polling stations on Election Day to cast their ballots in favor of candidates having surnames that they believe represent their ethnic groups.
정치 소식에 대한 정보가 제한되어 있는 만큼 이민 유권자들은 선거 날 투표소에 등장해 자신이 생각하기에 자신의 민족 집단을 대표하는 성을 가진 후보자들에게 투표한다.
The ethnicity-based voting behavior, combined with a relatively low Korean American voter population in the CA-34 district, may explain why no Korean American politicians have been elected there.
민족에 기반한 투표 행태와 더불어 캘리포니아 34 지구 내 상대적으로 적은 한국계 미국계 유권자 수는 해당 지국에서 한국계 미국인 정치인이 아직까지 선출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될 수도 있다.
Kim, an openly queer Korean American progressive and an immigrant attorney, has been trying to break that pattern since 2020.
본인이 성소수자임을 밝힌 한국계 미국인 진보 정치인이자 이민 변호사인 김 씨는 2020년부터 이러한 패턴을 깨기 위해 노력해왔다.
Kim has run in the congressional district twice, including the general election in 2020 and the mid-term election held this November, looking to represent those without a voice in society.
김 씨는 2020년 상원의원 선거와 올해 11월 진행된 중간선거를 포함해 해당 국회의원 선거구에 두 번 출마하며 사회적 발언권이 없는 이들을 대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His story of seeking to represent Korean Americans in the U.S. was also featured in Joseph Juhn's 2022 documentary "Chosen."
조셉 전 감독의 2022년 다큐멘터리 ‘초선'에는 미국 내 한국계 미국인들을 대변하기 위해 노력하는 김 씨의 이야기가 담겼다.
Kim said he decided to run in the congressional election "to fix the system" that keeps the underprivileged stuck in a vicious circle of poverty.
김 씨는 사회 경제적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가난의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게 만드는 "시스템을 바로잡기 위해" 의회 선거에 출마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As an attorney I can help those that are unfortunate, those that don't have a voice, those that need defense in court for their legal issues. I can do that for 20, 30, 40 or 50 years until I die," he said. "But if these systems aren't fixed where people are being left out in the gap, this can continue for 100 years, 200 years or even 300 years."
김 씨는 "변호사로서 불우한 사람들, 발언권이 없는 사람들, 법적 문제로 법정에서 보호받아야 하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 내가 죽기 전까지 20, 30, 40, 50년 동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람들이 격차에 내버려진 이러한 시스템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100년, 200년, 혹은 300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
His frustrations with the established politicians had grown and ultimately led him to run for Congress. He knew that politicians can change the lives of thousands or even millions of people but are not doing enough. "I wanted to help them instead," he said in a recent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in Seoul.
기성 정치인에 대한 좌절감이 커진 김 씨는 결국 국회의원에 입후보하게 되었다. 김 씨는 정치인들이 수천 혹은 수백만 명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충분히 행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 김 씨는 최근 서울에서 진행된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그들을 대신 돕고 싶다"고 전했다.
KEY WORDS
■ descent 혈통, 가문, 가계
■ eligible ~을 가질[할] 수 있는
■ juggle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동시에) 곡예하듯 하다
■ in favor of ~에 찬성하여
■ ballot 투표용지
■ progressive 진보적인
■ congressional (미국) 의회의
■ underprivileged (사회•경제적으로) 혜택을 못 받는
■ frustration 불만, 좌절감
■ ultimately 궁극적으로, 결국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