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embers of the Joint Action for Reproductive Justice, a coalition of pro-choice activists, hold a rally calling for the complet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in central Seoul, Aug. 17. Newsis 지난 8월 17일 서울 도심에서 ‘모두의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권리 보장 네트워크' 회원들이 낙태의 완전한 합법화를 촉구하며 시위를 열고 있다. |
Pro-choice advocates call for insurance coverage of abortion, while doctors oppose it
임신 중절 합법화 찬성파, 낙태에 보험 적용 촉구하며 의사들과 대립
By Lee Hyo-jin
Despite a 2019 landmark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decriminalizing abortion, legal abortion in Korea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with no simple answers.
헌법재판소가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지난 2019년의 획기적인 판결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낙태는 간단한 정답이 없는 논란 많은 쟁점으로 남아있다.
Without detailed laws, women seeking the termination of pregnancy are walking a fine line between legal and illegal. According to government data, only about 3,000 "legal" surgical abortions are performed every year, but the total number of abortions is not known and presumed to be much higher.
임신 중단을 원하는 여성들은 상세한 법 체계의 부재로 인해 법과 불법 사이에서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고 있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매년 고작 3천 건 정도의 "법적" 수술 낙태가 매년 진행되지만 전체 낙태 시술의 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Technically, abortion was legalized following the aforementioned Constitutional Court ruling made in April 2019, which concluded that banning abortion in the early stages of pregnancy was a viol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 court viewed that abortion before the 22nd week of pregnancy should be decriminalized, saying that wome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utweighs a fetus' right to life.
낙태는 위에 언급된 지난 2019년 4월 임신 초기 낙태 금지는 자기결정권에 대한 침해라고 결론 내린 헌법재판소의 판결 이후 사실상 합법화되었다. 헌재는 여성의 자기결정권이 태아의 생명권보다 중요하다며 임신 22주가 지나기 전 낙태는 비범죄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After the country's 67-year-old anti-abortion law was declared unconstitutional, lawmakers were left to decide how to legally define the "early stages of pregnancy" and amend related laws by Dec. 31, 2020.
67년된 한국의 낙태금지법이 위헌이라는 판결이 난 이후 입법자들은 "임신 초기"를 법적으로 정의하고 2020년 12월 31일까지 관련법을 개정할 의무에 놓였다.
In October 2020, the Ministry of Justice sought to revise the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o decriminalize abortions performed within the first 14 weeks of pregnancy. It also sought to include exceptions to allow the procedure during the first 24 weeks in certain situations, including when the pregnancy is the result of rape. But the revision bills failed to pass the National Assembly.
지난 2020년 10월 법무부는 형법과 모자보건법을 개정해 임신 첫 14주 내의 낙태 실시를 처벌 대상에서 제외시키려고 했다. 법무부는 또한 임신이 강간의 결과일 경우를 포함해 특정한 상황일 경우 임신 첫 24주 동안 낙태를 허용하는 예외도 포함하려고 했다. 그러나 수정안은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After the legislative body failed to meet the deadline, the anti-abortion law was nullified at the start of 2021, making abortion no longer a crime in Korea.
입법 기관이 개정 기한을 맞추지 못하며 낙태반대법은 2021년 초에 무효화 되어 한국에서 낙태는 더 이상 범죄가 아니게 되었다.
But the current situation has left women seeking abortion ― as well as doctors performing the procedures ― in legal limbo, according to attorney Lee Eun-eui.
하지만 이은의 변호사에 따르면 현재 상황은 낙태를 하려는 여성과 수술을 하려는 의사를 모두 법적 불확실성의 상황에 두고 있다.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anti-abortion law has been nullified and no laws were enacted to replace it, there are technically no restrictions on abortion. But this doesn't mean that abortion has become completely legal," she explained. "It has become a gray area, so to speak."
이 변호사는 "낙태반대법이 무효화되고 이를 대체할 다른 법이 제정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낙태에 대한 제한이 사실상 없는 것과 같다. 하지만 낙태가 완전히 합법이라는 뜻은 아니"라며 "한마디로 낙태는 어중간한 회색 지대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For one thing, Lee said, it is unclear up to how many weeks abortion can legally be carried out. Also, without a specific law stating that abortion is legal, doctors can still be penalized in accordance with other Criminal Laws or criminally charged for murder by conducting certain surgical abortions.
이 변호사는 한 예로 임신 몇 주차까지 낙태가 가능한지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또한 낙태가 합법이라는 특정한 법 없이는 의사는 다른 형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으며 특정 낙태 수술을 실시함으로써 살인으로 형사 고발을 당할 수 있다.
KEY WORDS
■ pro-choice 임신 중절 합법화를 찬성하는
■ insurance coverage 보험담보 범위
■ decriminalize (법을 개정하여 무엇을) 기소[처벌] 대상에서 제외시키다
■ termination 임신 중절 수술
■ presume 추정하다
■ self-determination 자기 결정권
■ outweigh ~보다 더 크다
■ fetus 태아
■ amend (법 등을) 개정하다
■ nullify 무효화하다
■ enact (법을) 제정하다
■ gray area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상황
■ carry out 수행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