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ving's original series, 'Bargain," is based on the 2015 short film of the same name. Courtesy of Tving 2015년 제작된 동명의 단편영화가 원작인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몸값‘ |
New series helps boost Tving's subscription
최신 드라마, 티빙 구독자 수 증가에 기여
By Lee Gyu-lee
Tving's new series, "Bargain," which is adapted from a 2015 award-winning short film of the same name, extends the original plot into a crime, disaster dystopian series.
2015년 제작되어 수상 경력이 있는 동명의 단편 영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티빙의 새 드라마 ‘몸값'은 기존 내용을 범죄, 재난의 디스토피아 드라마로 확장했다.
Filmmaker Lee Chung-hyeon's short film follows a schoolgirl and a man bargaining for her services as a prostitute.
이충현 영화감독의 단편영화는 매춘부인 여학생과 한 남자가 매춘을 위해 흥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But it turns out the girl lured him to the motel to steal and sell his organs.
그러나 이 여학생이 그의 장기를 훔쳐 인신매매를 하기 위해 그를 모텔로 꾀어낸 것이 드러난다.
The plot was picked up for a six-part series, which was released on the streaming platform on Oct. 28. The new series developed the story into what happened after the original short film's ending. Amid the bargaining, the man, Noh Hyung-soo (Jin Seon-kyu), and the young woman, Park Joo-young (Jun Jong-seo), encounter an earthquake and get trapped in the building.
이 내용은 6회 분량의 드라마로 각색되었으며, 10월 28일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공개되었다. 신작 드라마는 원작 단편영화가 끝난 후 일어났을 일들을 전개했다. 흥정 중에, 노형수(진선규 분)와 젊은 여자 박주영(전종서 분)은 지진을 맞닥뜨리고 건물 안에 갇히게 된다.
Along with a few other survivors, including Ko Keuk-ryul (Chang Ryul), a customer who was desperate to buy an organ for his father, the two must find a way to survive with no one to trust.
아버지를 위해 필사적으로 장기를 구매하려는 고객인 고극렬(장률 분)을 비롯한 몇몇 생존자들과 함께 두 사람은 아무도 믿지 못하는 상황에서 생존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The series scored the highest "unique visitor" counts, the number of subscribers logging in to watch specific content, during the week of its release among all of Tving's original series, although the platform did not disclose the specific number.
공개 첫째 주 기준 ‘시청UV'에서 몸값은 역대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 중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특정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로그인한 구독자 수를 의미하나 티빙은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The series' director, Jeon Woo-sung, said that he wanted to tell a story of how wrongdoers work through an inevitable disaster.
전우성 감독은 악인들이 피할 수 없는 재난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가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I was thinking of doing a disaster piece with a production company when I was offered to make this series ... The key here is that all of the characters are villains. So I wanted the story to have an earthquake as a sense of punishment for them and develop into how they get through the situation," Jeon said during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via video chat, Wednesday.
전 감독은 수요일 비디오 채팅을 통한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드라마를 만들기로 제안 받았을 때 제작사와 재난 영화 제작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중요한 것은 모든 등장인물들이 악인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지진이라는 천벌을 내리고 이들이 그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가는지를 담은 이야기를 원했다"고 전했다.
"You can't tell which main character is more villainous. But as they face a disaster, it would reset some of the circumstances. And when they start from zero, how would they act and deceive each other? I thought it was interesting to show how they handle the struggles."
"누가 더 악한 등장인물인지 구분할 수 없다. 그러나 이들이 재난을 마주하면서 몇몇 상황들이 초기화되었다. 그리고 모든 것이 0이 되었을 때, 과연 이들은 어떻게 행동하고 남들을 속일까? 이들이 어떻게 어려움을 다루는지 보여주는 것이 흥미롭겠다고 생각했다."
Hyung-soo and Joo-young join forces in the end, each with a different motive. Joo-young tells Hyung-soo that her boss keeps a huge sum of money in a vault and talks him into helping her.
마지막에 형수와 주영은 각자 다른 동기를 가진 채 힘을 합친다. 주영은 형수에게 그녀의 사장이 금고에 큰 돈을 숨겨두고 있다고 말하며 자신을 도우라고 말한다.
The director noted, "I think this piece is about money and lies. There are few elements that I put in metaphorically … For one, the motel building is a metaphor for capitalism," adding that he hopes the viewers would enjoy the series regardless of its underlying theme.
감독은 "이 작품은 돈과 거짓말에 관한 작품이다. 작품 내에 은유적으로 넣은 내용들이 몇 개 있다 … 한 예로, 모텔 건물은 자본주의를 비유한 것이다"라고 말하며 시청자들은 근본적인 주제와 상관 없이 드라마를 즐겼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KEY WORDS
■ dystopian 반이상향의
■ bargain 합의, 흥정
■ prostitute 매춘부, 창녀
■ lure 꾀다, 유혹하다
■ amid 가운데[중]에
■ encounter 맞닥뜨리다
■ desperate 필사적인[극단적인]
■ wrongdoer 범법자, 부정행위자
■ via 경유하여[거쳐], 통하여
■ deceive 속이다, 기만하다
■ metaphorically 은유적으로
■ capitalism 자본주의
■ regardless of ~에 상관없이
■ underlying 근본적인[근원적인]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