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amsung Electronics' Pyeongtaek Semiconductor plant in Gyeonggi Province / Courtesy of Samsung Electronics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
By Kim Hyun-bin
Korea's dependence on semiconductor equipment from the U.S., Japan and the Netherlands has reached 77.5 percent, sparking worries that the high level of dependence could be geo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risky in the future. Some experts are advising Korea to join the Chip 4 Alliance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semiconductor equipment, according to a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report, Thursday.
미국, 일본 및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에 대한 한국의 의존도가 77.5%에 달하여 이러한 높은 의존도가 지정학적, 외교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유발하고 있다. 목요일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한국이 칩4 동맹에 가입해 안정적인 반도체 장비 수급을 보장하도록 조언하고 있다.
The KITA released a report titled, "Recent Semiconductor Equipment Trade Trends and Implications," and it states that global semiconductor equipment trade increased 2.4 percent year-on-year in 2018 due to a surge in global semiconductor equipment investment, recording a record high of $101.2 billion. The top three export countries for semiconductor equipment were Japan ($31.2 billion), the U.S. ($28.4 billion), and the Netherlands ($20.1 billion).
무역협회는 ‘최근 반도체 장비 교역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2018년 세계 반도체 장비 투자 급증으로 세계 반도체 장비 교역액이 전년 대비 2.4% 증가해 1012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반도체 장비 1~3위 수출국은 일본(312억 달러), 미국(284억 달러), 네덜란드(201억 달러)였다.
In the global semiconductor equipment market, five major semiconductor equipment companies, including Applied Materials (U.S.), Lam Research (U.S.), KLA (U.S.), Tokyo Electron (Japan) and ASML (Netherlands), account for 79.5 percent of the total.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은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미국), 램리서치(미국), KLA(미국), 도쿄 일렉트론(일본), ASML(네덜란드)을 포함한 5개 주요 반도체 장비 회사가 79.5%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semiconductor equipment supplied by these companies. As of last year, China ($38.6 billion), Taiwan ($29.8 billion), and Korea ($25 billion) were ranked as the top three importers of semiconductor equipment, while Korea was more dependent on foreign equipment imports than Taiwan and China. As of last year, Korea's dependence on equipment imported from the U.S, Japan and the Netherlands reached 77.5 percent, which is higher than Taiwan (70.6 percent) and China (56.2 percent).
한국은 위 회사들이 공급하는 반도체 장비들에 매우 의존적이다. 지난해 세계 반도체 장비 1~3위 수입국으로 중국(386억 달러), 대만(298억 달러), 한국(250억 달러)이 이름을 올린 한편, 한국은 대만과 중국보다 해외 장비 수입에 더 의존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미국, 일본,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반도체 장비 수입 의존도는 77.5%를 기록했는데 이는 대만(70.6%)과 중국(56.2%)보다 더 높다.
The report pointed out that Korea's semiconductor equipment imports are likely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China's import of semiconductor equipment has started to decline due to U.S. sanctions on the export of advanced semiconductor equipment,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a spike in domestic imports in the near future.
해당 보고서는 향후 한국의 반도체 장비 수입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제재로 인해 중국의 반도체 장비 수입이 감소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가까운 장래에 수입이 늘어나는 결과를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The KITA added that Korea's semiconductor supply chain structure is vulnerable to diplomatic and geopolitical risks because of its heavy dependence on overseas semiconductor equipment. The fact that Korea's self-sufficiency in domestic semiconductor equipment is only 20 percent is of concern.
무역협회는 해외 반도체 장비에 대한 과한 의존 때문에 국내 반도체 공급망 구조가 지정학적 위험에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국내 반도체 장비 자급률이 20%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우려스럽다.
The report predi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localize the production of semiconductor equipment or diversify the countries from which the equipment can be imported right awa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part in the Chip 4 Alliance in order to increase profits through a stable supply of semiconductor equipment.
보고서는 시장 특성상 장비를 즉시 수입할 수 있는 국가들을 다양화하거나 반도체 장비 생산을 국내화하는 것이 어렵다고 예측한 한편 반도체 장비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칩4 동맹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s China's semiconductor boom has been on a decline due to the U.S.' export restrictions on semiconductor equipment, we have an opportunity to get some kind of reflective benefits," a KITA official said.
무역협회 관계자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로 중국의 반도체 굴기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우리로선 일종의 반사이익을 얻을 기회가 생겼다"고 전했다.
"We have to widen the gap with China and strengthen the domestic semiconductor industry base."
"중국과 격차를 넓히면서 국내 반도체 산업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
KEY WORDS
■ semiconductor 반도체
■ spark 촉발시키다,유발하다
■ diplomatically 외교상, 외교적으로
■ geopolitically 지정학적으로
■ surge 급증, 급등
■ account for 설명하다, 처리하다
■ dependent 의존하는
■ further 더 멀리에[로]
■ sanction 제재
■ vulnerable 취약한, 연약한
■ self-sufficiency 자족, 자급자족; 자부
■ localize ~을 한 지방에 국한시키다
■ diversify 다각[다양]화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