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y Kim Jae-heun
Luxury companies are becoming serious about the restaurant business here, as a way to maintain their posh image and continue to attract attention from young, trend-savvy consumers, according to industry officials, Tuesday.
화요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럭셔리 기업들은 화려한 이미지를 유지하고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소비자 유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에서 식당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Italian high-end luxury fashion house Gucci has opened Gucci Osteria restaurant in Itaewon, Seoul, where it serves dishes cooked by a Michelin three-star chef. A burger costs 27,000 won ($18.91) and a course menu ranges from 120,000 won to 170,000 won there. Despite its high prices, reservations for the restaurant were sold out four minutes after it opened.
이탈리아 고급 럭셔리 패션 브랜드 구찌는 서울 이태원에 미슐랭 3스타 쉐프가 만든 요리를 파는 ‘구찌 오스테리아'를 열었다. 버거 하나에 2만7000원 (18.91달러), 코스메뉴는 12~17만원 수준이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 레스토랑의 예약은 오픈 하자마자 4분만에 마감됐다.
French luxury firm Louis Vuitton also opened a pop-up restaurant called Pierre Sang at Louis Vuitton for just one month in May and it was fully booked as soon as reservations opened up. Global K-pop band BTS member J-Hope's visit to the restaurant also played a key role in making it into one of the hottest places in Seoul.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루이비통 역시 지난 5월 한 달간 ‘피에르 상 at 루이비통'이라고 불리는 팝업 레스토랑을 오픈했다. 세계적 K팝 그룹인 방탄소년단의 멤버 제이홉의 방문은 이 레스토랑이 서울의 가장 핫한 장소 중 하나가 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With this momentum, Louis Vuitton opened a second pop-up restaurant in the posh district of Cheongdam-dong, Seoul, in September. Despite most of its prices being in the 300,000-won range, it was fully booked as soon as it opened and people are now selling their reserved times to make a profit.
이에 탄력을 받아 루이비통은 지난 9월 부촌인 서울 청담동에 두 번째 팝업 레스토랑을 오픈했다. 30만원 가격대에도 불구하고 오픈하자마자 예약이 완료되었고 사람들은 돈벌이로 예약권에 웃돈까지 붙여 팔고 있다.
Swiss luxury watchmaker Breitling introduced a restaurant and a coffee shop together with its brand shop, which opened early this year. The company expressed its luxury brand image in its food and beverages and has grabbed the attention of watch fans.
스위스 명품 시계 브라이틀링도 올 초 일찌감치 브랜드샵과 함께 카페와 레스토랑을 오픈했다. 이 기업은 명품 브랜드 이미지를 식음으로 표현해 시계 매니아들의 관심을 끄는데 성공했다.
Korean popular eyewear brand Gentle Monster did not fall behind the trend, opening dessert cafe Nudake at its flagship store in Apgujeong, Seoul, where it has attracted dessert lovers from across the country.
한국의 아이웨어 명품 브랜드 ‘젠틀몬스터' 역시 이러한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고 서울 압구정동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에 ‘누데이크'라는 디저트 카페를 열어 전국 각지의 디저크 매니아들의 성지로 만들었다.
Selling luxury brand experience
럭셔리 브랜드 경험 판매
The COVID-19 pandemic has pushed luxury brands to promote its fashion items in digital space, which turned out to be successful among not only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but also those in their 60s and 70s.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럭셔리 브랜드들은 디지털 공간에서 패션 아이템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2030세대는 물론이고 6070세대에서도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 냈다.
In the midst of this major paradigm shift, luxury brands have begun making investments to offer experiences of their brands in various ways. However, companies have also learned that there is a limit for customers to experience fully their brand identities and products online.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럭셔리 브랜드들은 여러 방식으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기업들은 온라인 속에서 고객이 브랜드 정체성과 제품을 완벽히 경험하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 역시 배웠다.
Thus, top-tier firms have begun opening restaurants and coffee shops. It costs less for customers to experience the luxury brands through food and desserts, compared to purchasing a handbag or clothing at a boutique. Such visits to restaurants are temporary but customers can experience the brand with their five senses without spending tens of millions of won.
따라서 일류 기업들은 레스토랑과 카페를 열기 시작했다. 고객에게는 음식과 디저트를 통한 럭셔리 브랜드 경험이 부티크에서 핸드백이나 옷을 사는 것에 비하면 더 저렴하다. 레스토랑 방문은 한시적이지만 고객은 수 천만원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브랜드를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다.
KEY WORDS
■ posh 화려한, 상류층의
■ savvy 상식 있는, 요령 있는
■ high-end 고급의
■ serve (식당 등에서 음식을) 제공하다
■ pop-up 한시적 운영하는 매장의, 임시 매장의
■ momentum (일의 진행에 있어서의) 탄력
■ beverage (물 외의) 음료
■ grab 붙잡다, 움켜잡다
■ flagship 주력 서비스[건물]
■ promote 홍보하다
■ shift 변화
■ top-tier 일류의
■ temporary 일시적인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