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US hit for unilaterally pursuing self-interests
미국의 일방적인 자국 이익 추구에 대한 비난 고조
The United States has come under criticism again for launching a new initiative designed to favor domestically manufactured bio, drug and other medical products. U.S. President Joe Biden signed an executive order Monday to implement the 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 to expand domestic production and create new jobs in the U.S.
미국은 자국에서 제조된 바이오, 의약품 및 기타 의료 제품에 유리하도록 고안된 새로운 법안을 추진해 비난을 받고 있다. 월요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내 생산 확대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The initiative) will ensure we can make in the United States all that we invent. It will create jobs at home, build stronger supply chains and allow lower prices for American families," the White House said in a statement. "The U.S. has relied too heavily on foreign materials and bioproduction and our past offshoring of critical industries, including biotechnology, threatens our ability to access materials like important chemicals and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백악관은 성명에서 "(이 이니셔티브는) 미국에서 발명한 모든 것을 미국에서 만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더 강력한 공급망을 구축하며, 미국 가정에 물가 완화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해외의 원재료와 바이오 생산에 지나치게 의존해 왔고, 생명공학을 포함한 주요 산업의 과거 오프 쇼어링(생산시설 해외이전)은 중요한 화학 및 활성 의약품과 같은 재료에 대한 우리의 접근성을 위협한다."
To sum it up, the new initiative seeks to revive the U.S.'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generate jobs while effectively containing China in the global market. The U.S. move has caught domestic companies off guard again, as it came on the heels of the U.S. legislation of the Inflation Reduction Act (IRA), which calls for the provision of tax incentives for buyers of electric vehicles (EVs) manufactured in North America. The act will deal blows to Korean carmakers such as Hyundai Motor which have no EV assembly lines there.
요약하자면, 이 새로운 법안은 미국의 제조업을 재건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세계 시장에서 중국을 효과적으로 제어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북미에서 생산되는 전기자동차(EV) 구매자에 대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입법에 이어 나온 미국의 조치로 국내 기업들이 다시 허를 찔렸다. 이 법안은 현지에 전기차 조립 라인이 없는 현대자동차와 같은 한국 자동차 회사들에 타격을 줄 것이다.
This "Made in America" policy will inflict serious setbacks on South Korea's mainstay and next-generation industries. For instance, the overseas sales of bio and health product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emerging as one of the country's top 10 major export items.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leading the global market, riding on their tech prowess based on the 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CDMO) device.
이러한 "메이드 인 아메리카" 정책은 한국의 주력 산업과 차세대 산업에 심각한 차질을 줄 것이다. 예를 들어, 올해 상반기 바이오 및 건강 제품의 해외 판매는 계속 증가하여 한국의 10대 주요 수출 품목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위탁개발생산(CDMO) 장치를 기반으로 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해 왔다.
For starters, Samsung Biologics and SK Bioscience are producing vaccines of Modena and Novavax, respectively, here. Yet the domestic firms will suffer heavily should the U.S. block production outside America. If the firms relocate their plants to the U.S., they will have to cut jobs here. South Korea has been nurturing the bio sector as a new growth engine. Unless modified, the U.S. egocentric move could shake the foundations of the fledgling domestic bio industry.
우선 국내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각각 모더나와 노바백스의 백신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자국 밖의 생산을 막을 경우 국내 기업들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만약 기업들이 공장을 미국으로 재이전한다면 한국에서의 일자리를 축소할 것이다. 한국은 그 동안 바이오 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해 왔다. 변경되지 않는 한 미국의 자국중심적인 움직임은 막 자라나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
The Biden administration cannot avoid criticism, as such a unilateral trade policy trespasses on the long-cherished value of free trade. The U.S.' self-centered policies, mainly aimed to maintain the upper hand over China, will also seriously undermine its alliance with South Korea. The Yoon Suk-yeol government has already decided to join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to boost econom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the U.S. and its allies in the region.
바이든 행정부의 이러한 일방적인 무역정책은 자유무역의 가치를 침해하는 것으로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중국에 대한 우위를 유지하려는 미국의 자국중심적인 정책도 한국과의 동맹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이미 미국과 지역 내 동맹국과의 경제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해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가입하기로 했다.
Yet the U.S. move discriminating against Korean-made goods runs counter to the principles of free and fair trade as well as the spirit of economic security alliance. The discriminatory nature of the IRA also violates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and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rules. The U.S. should stop its "America first" initiatives. Instead, it must push for its policies based on mutual respect to promote free trade and enhance co-prosperity. The Yoon administration should spare no efforts to protect our national interests.
하지만 한국산 제품을 차별하는 미국의 움직임은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의 원칙과 경제 안보 동맹의 정신에도 어긋난다. IRA의 차별적 성격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도 위배된다. 미국은 '미국 우선주의'를 멈춰야 한다. 대신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자유무역을 촉진하고 상생을 증진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윤 정부는 국익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9월 15일 (목)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launch 시작하다
■ ensure 반드시 ~하게 하다
■ pharmaceutical 약학의, 제약의
■ catch A off guard : A의 허를 찌르다
■ inflict on ~에 영향을 주다
■ setback 차질
■ trespass on ~에 침입하다, ~을 침해하다
■ undermine 약화시키다
■ co- : 공동, 함께 (접두사)
■ prosperity 번영, 번창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