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o improve transparency of 'special activity expenses'
특수활동비 투명성 높여야 할 때
Cheong Wa Dae said last Thursday that it "could not understand why it should matter whether first lady Kim Jung-sook paid with cash or card in buying clothes at her own expense." The presidential office made the remarks in respons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first lady's alleged purchases of apparel using the special activity expense fund, which is allotted to some government agencies. The office then refused to disclose the details of the fund's use, saying, "It is the government's common principle to keep the details private."
청와대는 지난 목요일 "김정숙 여사가 옷값 지불에 대해 현금이냐 카드냐가 왜 중요한 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일부 정부 부처에 배정된 특수활동비 지원금을 사용해 영부인이 의류를 구입했다는 논란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는 또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을 비공개로 하는 것이 정부의 공통된 원칙"이라며 구체적인 사용 내역 공개를 거부했다.
The essenc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first lady's wardrobe lies in the special activity fund. Earlier this month, Cheong Wa Dae rejected a court ruling that the presidential office should disclose information on its off-the-record expenses related to the first lady's clothing costs, saying that it "contains sensitive issues, including national security." Afterward, the issue degenerated into peripheral problems, such as the prices of clothes and purchasing methods. The special activity fund saga, the essence of the matter, is now taking a back seat.
영부인 의상 논란의 본질은 특별활동비에 있다. 청와대는 이달 초 영부인 의상 구매와 관련된 특수활동비 지출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라는 법원의 판결에 "국가 안보 등 민감한 사안들을 포함하고 있다"며 불복했다. 그 후, 이 논란은 옷값이나 구입 방법 등 지엽적인 문제로 전락했다. 문제의 본질인 특수활동비는 이제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It is hard to understand why Cheong Wa Dae linked the first lady's clothing purchases to national security. It is irrational for the opposition parties, including the People Power Party (PPP), to blur the core issue of the problem by taking issue with trivial matters. If the presidential office is free from suspicion, it has no reason to refuse to disclose details regarding its use of the special activity expense fund. The longer the presidential office sticks to nondisclosure, the deeper the public's suspicions will become regarding the expenses allotted to institutions such as the prosecution, the national spy agency and other agencies dealing with intelligence.
청와대가 영부인 의상 구매를 왜 국가 안보 문제와 연결시켰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국민의힘을 포함해 야당이 사소한 일들을 문제삼아 문제의 핵심을 흐리는 것은 비논리적이다. 청와대가 논란의 여지에서 자유롭다면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을 공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청와대가 비공개를 고수할수록 검찰, 국정원 및 여타 정보기관 등에 배정된 특수활동비에 대한 국민의 의혹은 더욱 깊어질 것이다.
4월 4일자 사설
KEY WORDS
■ row 논란
■ transparency 투명성
■ allot (시간·돈·업무 등을) 할당[배당]하다
■ wardrobe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옷
■ degenerate into 전락하다
■ stick to 고수하다
기사 원문 보기
특수활동비 투명성 높여야 할 때
Cheong Wa Dae said last Thursday that it "could not understand why it should matter whether first lady Kim Jung-sook paid with cash or card in buying clothes at her own expense." The presidential office made the remarks in respons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first lady's alleged purchases of apparel using the special activity expense fund, which is allotted to some government agencies. The office then refused to disclose the details of the fund's use, saying, "It is the government's common principle to keep the details private."
청와대는 지난 목요일 "김정숙 여사가 옷값 지불에 대해 현금이냐 카드냐가 왜 중요한 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일부 정부 부처에 배정된 특수활동비 지원금을 사용해 영부인이 의류를 구입했다는 논란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청와대는 또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을 비공개로 하는 것이 정부의 공통된 원칙"이라며 구체적인 사용 내역 공개를 거부했다.
The essenc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first lady's wardrobe lies in the special activity fund. Earlier this month, Cheong Wa Dae rejected a court ruling that the presidential office should disclose information on its off-the-record expenses related to the first lady's clothing costs, saying that it "contains sensitive issues, including national security." Afterward, the issue degenerated into peripheral problems, such as the prices of clothes and purchasing methods. The special activity fund saga, the essence of the matter, is now taking a back seat.
영부인 의상 논란의 본질은 특별활동비에 있다. 청와대는 이달 초 영부인 의상 구매와 관련된 특수활동비 지출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라는 법원의 판결에 "국가 안보 등 민감한 사안들을 포함하고 있다"며 불복했다. 그 후, 이 논란은 옷값이나 구입 방법 등 지엽적인 문제로 전락했다. 문제의 본질인 특수활동비는 이제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It is hard to understand why Cheong Wa Dae linked the first lady's clothing purchases to national security. It is irrational for the opposition parties, including the People Power Party (PPP), to blur the core issue of the problem by taking issue with trivial matters. If the presidential office is free from suspicion, it has no reason to refuse to disclose details regarding its use of the special activity expense fund. The longer the presidential office sticks to nondisclosure, the deeper the public's suspicions will become regarding the expenses allotted to institutions such as the prosecution, the national spy agency and other agencies dealing with intelligence.
청와대가 영부인 의상 구매를 왜 국가 안보 문제와 연결시켰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국민의힘을 포함해 야당이 사소한 일들을 문제삼아 문제의 핵심을 흐리는 것은 비논리적이다. 청와대가 논란의 여지에서 자유롭다면 특수활동비 사용 내역을 공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청와대가 비공개를 고수할수록 검찰, 국정원 및 여타 정보기관 등에 배정된 특수활동비에 대한 국민의 의혹은 더욱 깊어질 것이다.
4월 4일자 사설
KEY WORDS
■ row 논란
■ transparency 투명성
■ allot (시간·돈·업무 등을) 할당[배당]하다
■ wardrobe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옷
■ degenerate into 전락하다
■ stick to 고수하다
기사 원문 보기